술빚기 질문과 답변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조회 수 5181 추천 수 50 2006.09.19 19:39:50

*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알코올 도수가 낮으면서 술에 단맛이 나게 하는 것은 미생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냥 따라만 하시면서 몸으로 터득하면 되는 것입니다.

달면서 도수가 낮은 술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효모를 죽이는 일입니다. 효모를 죽이지 않고서도 단맛의 술을 만들수 있지만 알콜 도수가 낮은 술을 얻을 수는 없습니다.

제가 말하는 낮은 알코올 도수는 5% 정도입니다. 그 이상이 되면 술이 달다가도 내일이면 신맛이 나기 때문에 술을 제조할 때 알코올 생성을 제한해야 하는 것입니다.

알코올 생성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효모의 활동을 억제하여 효모의 수를 줄이면 되는 것입니다.

효모의 수를 줄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온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즉, 35도 이상이 단 몇 시간 유지되면 거의 모든 효모는 사멸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효모는 사멸하고 당을 만들어내는 효소는 살아남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어떠한 방법으로 35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 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고두밥을 쪄서 뜨거운 상태로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당화과정이 빠르게 진행되서 단맛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뜨거운 밥을 섞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효모들이 사멸하여 알코올 도수가 매우 낮은 술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1. 원료를 가공(고두밥, 설기떡, 범벅 등)하여 식히지 않고 사용한다.
2. 밑술과 오랫동안 섞어 준다.
3. 보쌈을 하여 따뜻한 곳에 술독을 놓는다.
4. 술을 걸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조금씩 꺼내마신다.


1.2의 과정에서 많은 수의 효모가 사멸하여 알코올 생성이 적어지며 상대적으로 효소의 당화작용에 의해 당도는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 또 다른 방법은 원료가 식은 상태에서 술독을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제조법은 조금만 잘못하면 알코올 도수가 높아지게 되어 우리가 원하는 술을 얻을 수 없습니다.



우리술 사랑 "술독" www.suldoc.com

박창수

2006.12.11 01:11:25
*.215.117.37

위의 내용을 보고느끼게된것은 덧술할 시점이 알콜5도 정도 시점이라고 보는것입니까. 일반적으로....

酒人

2006.12.29 09:12:23
*.188.87.34

알코올 도수 5도일때 덧술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술이 완성되었을 때 도수가 낮은 술의 알코올 도수가 5도 정도 되는 술을 "도수가 낮은 술"이라 표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10도 이상에서 덧술을 하지만 도수가 낮은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윗글과 같은 조치를 해야하고 이렇게 되면 알코올 도수가 5%정도로 낮은 술이 만들어지는 것을 말한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879
80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6908
79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2P 2012-04-18 6933
78 감주빗기 [2] 우리술이좋아 2011-11-28 7000
77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008
76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7010
75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014
74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지허 2011-07-03 7019
73 흑미주 빚는법... [1] 0심이 2011-04-14 7053
72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065
71 청주만들기 [2] 우리술이좋아 2010-01-21 7071
70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酒人 2007-10-22 7086
69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087
68 애주-물과쌀비율이.... [1] 선주도가 2011-05-04 7113
67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민속주 2012-07-08 7116
66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155
65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177
64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181
63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240
62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245
61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7304
60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335
59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342
58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347
57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377
56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378
55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389
54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389
53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462
52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476
51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502
50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556
49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593
4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692
47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783
46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828
45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7847
44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7889
43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7990
42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1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