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조회 수 4472 추천 수 54 2006.09.07 19:09:35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알고 계신 술 중에 하나가 석탄주입니다.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깝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술의 이름도 독특하고 맛 또한 좋다고 하니 술을 빚는 사람들은 대부분 석탄주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럼 석탄주는 어떤 맛을 가졌기에 애주가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일까요.

석탄주의 제조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백미 2되를 백세하여 가루내고, 물 1말로 죽 써서 차게 식으면 누룩 1되와 섞어 술독에 담아 봄,가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겨울에는 7일만에 덧술을 하는데 찹쌀 1말을 쪄서 식으면 밑술과 혼합하여 술독에 담고 7일 후에 사용한다.]

이러한 제조법을 보면서 여러분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쌀과 물의 비율입니다. 석탄주를 보면 총 쌀의 양에 물이 150%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쌀 12리터, 물 18리터가 들어가니까 쌀과 물의 비가 1 : 1.5가 되는 것입니다.

쌀로 빚은 술에 물 150%를 넣어 빚으면 술맛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코올 도수 : 16-17% 맛 : 단맛은 거의 없고 산미와 감칠맛이 우수합니다.
색깔 : 석탄주의 뿌리가 황금주에 있는데 황금주가 술의 색이 황금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석탄주도 황금빛을 냅니다.


현대인이 만약 위 제조법으로 빚은 술을 마신다면 분명 기대가 컷던 만큼 허탈해 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현대인의 입맛을 기준으로 석탄주를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석탄주가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까울 정도로 맛있다고 하지만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람의 입맛이 다 달라서 저의 생각이 주관적일 수 있지만 현대인이 맛있다고 하는 술맛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석탄주는 밑술을 죽으로 하는데 이렇게 죽으로 빚는 방법은 조선 초 이전의 제조법의 특징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범벅으로 바뀌어 갔지만 석탄주처럼 밑술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술은 범벅 보다는 죽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석탄주를 아주 맛있게 빚고 싶으면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석탄주 본래의 맛이 아닌 다른 술맛을 얻는 것입니다. 보통 인터넷 카페 등에서 사용하는 제조법은 물 10리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빚으면 당연히 맛은 더 좋아집니다. 그러나 더 좋아진다는 것은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아진다는 것이지 술이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석탄주를 빚어 마시면서 옛 조상들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그들의 입맛은 지금 현대인의 입맛과 다른 맛을 즐기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단맛보다는 산미가 있는 감칠맛을 즐겼으며 특히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즐겨 마셨던 것 같습니다.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술을요. 또한, 7일만에 용수를 박는다고 하였으니 석탄주는 맑은 청주로 마시는 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61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780
560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399
559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618
558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439
557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4752
556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267
555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207
554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040
553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359
552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28
551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4805
550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3995
549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066
548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4690
547 누룩만들기 [1] 반애주가 2013-04-29 5002
546 똑똑 똑 [2] mumu 2013-04-26 4029
545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179
544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805
543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4716
542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502
541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253
540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3948
539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550
538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122
537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0491
536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4602
535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197
534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3880
533 산막일까요? file [3] [1] 제천인어공주 2013-01-11 4931
532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4689
531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312
530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693
529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119
528 맑은술이 뜨지 않습니다..... [1] [8] 우기 2012-12-16 4839
527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452
526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408
525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398
524 예쁘게 끓는술 2탄 file [1] [3] 제천인어공주 2012-12-01 4862
523 삼양주 물의 양에 대한 질문입니다 [2] [7] 요롱이엄마 2012-11-16 4804
522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598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