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조회 수 4525 추천 수 54 2006.09.07 19:09:35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알고 계신 술 중에 하나가 석탄주입니다.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깝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술의 이름도 독특하고 맛 또한 좋다고 하니 술을 빚는 사람들은 대부분 석탄주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럼 석탄주는 어떤 맛을 가졌기에 애주가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일까요.

석탄주의 제조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백미 2되를 백세하여 가루내고, 물 1말로 죽 써서 차게 식으면 누룩 1되와 섞어 술독에 담아 봄,가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겨울에는 7일만에 덧술을 하는데 찹쌀 1말을 쪄서 식으면 밑술과 혼합하여 술독에 담고 7일 후에 사용한다.]

이러한 제조법을 보면서 여러분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쌀과 물의 비율입니다. 석탄주를 보면 총 쌀의 양에 물이 150%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쌀 12리터, 물 18리터가 들어가니까 쌀과 물의 비가 1 : 1.5가 되는 것입니다.

쌀로 빚은 술에 물 150%를 넣어 빚으면 술맛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코올 도수 : 16-17% 맛 : 단맛은 거의 없고 산미와 감칠맛이 우수합니다.
색깔 : 석탄주의 뿌리가 황금주에 있는데 황금주가 술의 색이 황금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석탄주도 황금빛을 냅니다.


현대인이 만약 위 제조법으로 빚은 술을 마신다면 분명 기대가 컷던 만큼 허탈해 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현대인의 입맛을 기준으로 석탄주를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석탄주가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까울 정도로 맛있다고 하지만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람의 입맛이 다 달라서 저의 생각이 주관적일 수 있지만 현대인이 맛있다고 하는 술맛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석탄주는 밑술을 죽으로 하는데 이렇게 죽으로 빚는 방법은 조선 초 이전의 제조법의 특징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범벅으로 바뀌어 갔지만 석탄주처럼 밑술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술은 범벅 보다는 죽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석탄주를 아주 맛있게 빚고 싶으면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석탄주 본래의 맛이 아닌 다른 술맛을 얻는 것입니다. 보통 인터넷 카페 등에서 사용하는 제조법은 물 10리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빚으면 당연히 맛은 더 좋아집니다. 그러나 더 좋아진다는 것은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아진다는 것이지 술이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석탄주를 빚어 마시면서 옛 조상들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그들의 입맛은 지금 현대인의 입맛과 다른 맛을 즐기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단맛보다는 산미가 있는 감칠맛을 즐겼으며 특히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즐겨 마셨던 것 같습니다.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술을요. 또한, 7일만에 용수를 박는다고 하였으니 석탄주는 맑은 청주로 마시는 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 酒人
  • 2006-03-30
  • 조회 수 7195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 酒人
  • 2007-10-22
  • 조회 수 7197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 지허
  • 2011-07-03
  • 조회 수 7222

흑미주 빚는법... [1]

  • 0심이
  • 2011-04-14
  • 조회 수 7233

청주만들기 [2]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 오포
  • 2023-04-16
  • 조회 수 7253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 희진
  • 2023-03-10
  • 조회 수 7311

애주-물과쌀비율이.... [1]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술찌끄미 이용법 [1]

  • 포수
  • 2013-06-14
  • 조회 수 7369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 酒人
  • 2006-04-18
  • 조회 수 7372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 창힐
  • 2012-06-25
  • 조회 수 7375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re]화주(火酒)에 대하여...

  • 酒人
  • 2008-07-28
  • 조회 수 7499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 적초
  • 2009-06-17
  • 조회 수 7499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단양주 빚어보는데 [1]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 신의
  • 2008-08-18
  • 조회 수 7601

당화인가 발효인가?? [2]

  • 酒人
  • 2006-02-20
  • 조회 수 7602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 오씨
  • 2018-10-14
  • 조회 수 7680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 Emiju
  • 2021-01-05
  • 조회 수 7756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 희진
  • 2023-04-13
  • 조회 수 7763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 할배
  • 2022-01-05
  • 조회 수 7794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 창힐
  • 2013-07-20
  • 조회 수 7875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 酒人
  • 2007-11-05
  • 조회 수 7927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소주 주정 만들기 [1]

  • 포수
  • 2013-06-11
  • 조회 수 7975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8088

삼양주 채주 시기 [3]

밑술의양은얼마나 [2]

  • 지허
  • 2011-07-12
  • 조회 수 83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