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조회 수 3849 추천 수 89 2006.08.21 09:40:37
진상주(進上酒)

진상주에 대한 정확한 뜻은 알 수 없으나 진상(進上)이 지방의 토산물을 임금이나 웃사람에게 받치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진상주는 1450년대 <산가요록>, 1500년대 <수운잡방>, 1800년대 <역주방문>,<주찬> 에 기록되어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에 기록되어 있는 진상주의 제조법은 거의 흡사하지만 1450년대 <산가요록>은 밑술을 죽으로하고 1800년대 <양주방>은 밑술을 범벅으로 만드는 것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또한, 1500년대 <수운잡방>의 진상주 제조법은 <산가요록>과 <양주방>과는 많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의 진상주는 “백미 3말을 물 7말로 범벅하고, 덧술에 백미 10말과 물 8말을 혼합하는 방문”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수운잡방>의 진상주는 “백미 2되를 죽 쑤고 덧술에 찹쌀 1말을 사용” 하고 있어 진상주의 제조법이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주찬>에 기록된 진상주는 위 세가지 문헌에 등장하는 것과는 또 다른 제조법을 보여주는데 “백미 2말을 물 6사발로 죽 쑤고, 덧술에 찹쌀 2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주찬>의 제조법은 <수운잡방>의 제조법을 잘 못 기록한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해본다. 그 이유는 멥쌀 2말을 물 6사발로 죽을 쑤라 했는데 이는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수운잡방>과 같이 멥쌀 2되를 물 6사발로 죽 쑤고 덧술에 찹쌀을 넣는 것이 후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잘못 전달되거나 기록하는 과정에서 오자가 생긴 것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우리는 <산가요록><수운잡방><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을 살펴보고 주조법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조선초기의 술 제조법은 밑술을 죽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조선중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죽 보다는 범벅으로 밑술을 제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에 기록되어 있는 진상주의 제조법은 거의 흡사하지만 1450년대의 <산가요록>이 밑술을 죽으로 하고, 1800년대 <양주방>이 밑술을 범벅으로 하고 있어 진상주의 밑술 제조법이 시대가 변함에 따라 진화했음을 알 수 있다.

죽으로 하는 밑술보다 범벅으로 하는 밑술이 효모의 증식이 잘 이루어져 알코올 도수가 높아 저장성이 뛰어난 술을 제조할 수 있어 후대로 갈수록 범벅의 사용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살펴본 바와 같이 진상주도 같은 제조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밑술이 죽에서 범벅으로 변하여 술의 질을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아쉬운 점은 1450년대 <산가요록>이 밑술과 덧술 모두 백미를 이용하고 있으나 1800년대 <역주방문>에서도 밑술과 덧술 모두를 백미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통적 제조법을 따르는 것을 뭐라고 할 수는 없으나 밑술을 죽에서 범벅으로 발전시켰다면 사용하는 재료도 덧술에서는 찹쌀을 이용하는 것이 술의 질을 한 층 더 높일 수 있지 않았을까.

<산가요록>과 <양주방>에는 백미 13말을 사용하였는데 <수운잡방>에서는 백미 2되와 찹쌀 1말을 사용하고 있어 술의 양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450년대 대량으로 빚어지던 술이 1500년대 초에는 소량으로 빚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산가요록>의 진상주 제조법이 변하여 <수운잡방>의 제조법에 영향을 준 것이라 보기는 힘들 것이다. 단지, 우리의 전통가양주가 지역마다, 빚는 사람에 따라 술 제조법이 달랐기 때문에 다양한 술 제조법이 생겼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쌀 13말과 물 15말을 사용하는 <산가요록>의 진상주는 대량으로 빚어져 나라의 큰 행사에 쓰여진 것으로 보여지며 <수운잡방>의 진상주는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양으로 일반 가양주 형태로 술을 빚어 집안의 제사나 귀한 손님 접대를 위해 제조한 것이라 보여진다.

2006년 현재의 시각으로 진상주의 제조법을 보면 <산가요록>에서 진화하여 <양주방>의 진상주 제조법으로 변하였으며 <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에서 덧술을 찹쌀로 변경한다면 진상주의 진화가 마무리 되는 것은 아닐까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본다.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진상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1/10로 줄인 진상주 제조법을 올립니다.

1800년대 <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

밑술
1. 백미 3되를 백세하여 가루낸다.
2. 끓는 물 7되를 부어 범벅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3. 누룩 7홉과 밀가루 3홉을 함께 섞어 술독에 담는다.

덧술
1. 백미 1말을 백세하여 물에 담갔다가 고두밥을 만든다.
2. 끓인 물 8되를 고두밥에 넣고 혼합하여 차게 식힌다.
3. 밑술과 누룩 5홉(수정)을 섞어 술독에 담았다가 익으면 쓴다.


10분의 1로 줄인 제조법은 이러하지만 덧술을 찹쌀로 한다면 더 맛 좋은 진상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가오는 추석에는 진상주를 빚어 제사상에 올리고 온 가족이 함께 마시면 좋을 것이다. 추석이 10월에 있으니 8월 말에서 9월 초에 빚으면 좋을 것이다.



수정내용  

1. 진상주가 기록된 문헌은 <양주방>이 아닌 <역주방문>
2. 덧술에 누룩 5홉이 추가로 들어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re] 고구마술 [4]

  • 酒人
  • 2009-01-16
  • 조회 수 6971

술찌끄미 이용법 [1]

  • 포수
  • 2013-06-14
  • 조회 수 6992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 2P
  • 2012-04-18
  • 조회 수 7012

감주빗기 [2]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 지허
  • 2011-07-03
  • 조회 수 7090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 酒人
  • 2006-03-30
  • 조회 수 7117

흑미주 빚는법... [1]

  • 0심이
  • 2011-04-14
  • 조회 수 7123

청주만들기 [2]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 酒人
  • 2007-10-22
  • 조회 수 7133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애주-물과쌀비율이.... [1]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단양주 빚어보는데 [1]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 창힐
  • 2012-06-25
  • 조회 수 7242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 酒人
  • 2006-04-18
  • 조회 수 7300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 오씨
  • 2018-10-14
  • 조회 수 7393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 적초
  • 2009-06-17
  • 조회 수 7406

[re]화주(火酒)에 대하여...

  • 酒人
  • 2008-07-28
  • 조회 수 7432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 창힐
  • 2013-07-20
  • 조회 수 7491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당화인가 발효인가?? [2]

  • 酒人
  • 2006-02-20
  • 조회 수 7505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 신의
  • 2008-08-18
  • 조회 수 7508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 Emiju
  • 2021-01-05
  • 조회 수 7518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 할배
  • 2022-01-05
  • 조회 수 7519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 酒人
  • 2007-11-05
  • 조회 수 7863

소주 주정 만들기 [1]

  • 포수
  • 2013-06-11
  • 조회 수 7863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8024

삼양주 채주 시기 [3]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 anakii
  • 2013-11-14
  • 조회 수 8035

밑술의양은얼마나 [2]

  • 지허
  • 2011-07-12
  • 조회 수 81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