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조회 수 3873 추천 수 89 2006.08.21 09:40:37
진상주(進上酒)

진상주에 대한 정확한 뜻은 알 수 없으나 진상(進上)이 지방의 토산물을 임금이나 웃사람에게 받치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진상주는 1450년대 <산가요록>, 1500년대 <수운잡방>, 1800년대 <역주방문>,<주찬> 에 기록되어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에 기록되어 있는 진상주의 제조법은 거의 흡사하지만 1450년대 <산가요록>은 밑술을 죽으로하고 1800년대 <양주방>은 밑술을 범벅으로 만드는 것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또한, 1500년대 <수운잡방>의 진상주 제조법은 <산가요록>과 <양주방>과는 많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의 진상주는 “백미 3말을 물 7말로 범벅하고, 덧술에 백미 10말과 물 8말을 혼합하는 방문”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수운잡방>의 진상주는 “백미 2되를 죽 쑤고 덧술에 찹쌀 1말을 사용” 하고 있어 진상주의 제조법이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주찬>에 기록된 진상주는 위 세가지 문헌에 등장하는 것과는 또 다른 제조법을 보여주는데 “백미 2말을 물 6사발로 죽 쑤고, 덧술에 찹쌀 2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주찬>의 제조법은 <수운잡방>의 제조법을 잘 못 기록한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해본다. 그 이유는 멥쌀 2말을 물 6사발로 죽을 쑤라 했는데 이는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수운잡방>과 같이 멥쌀 2되를 물 6사발로 죽 쑤고 덧술에 찹쌀을 넣는 것이 후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잘못 전달되거나 기록하는 과정에서 오자가 생긴 것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우리는 <산가요록><수운잡방><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을 살펴보고 주조법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조선초기의 술 제조법은 밑술을 죽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조선중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죽 보다는 범벅으로 밑술을 제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가요록>과 <역주방문>에 기록되어 있는 진상주의 제조법은 거의 흡사하지만 1450년대의 <산가요록>이 밑술을 죽으로 하고, 1800년대 <양주방>이 밑술을 범벅으로 하고 있어 진상주의 밑술 제조법이 시대가 변함에 따라 진화했음을 알 수 있다.

죽으로 하는 밑술보다 범벅으로 하는 밑술이 효모의 증식이 잘 이루어져 알코올 도수가 높아 저장성이 뛰어난 술을 제조할 수 있어 후대로 갈수록 범벅의 사용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살펴본 바와 같이 진상주도 같은 제조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밑술이 죽에서 범벅으로 변하여 술의 질을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아쉬운 점은 1450년대 <산가요록>이 밑술과 덧술 모두 백미를 이용하고 있으나 1800년대 <역주방문>에서도 밑술과 덧술 모두를 백미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통적 제조법을 따르는 것을 뭐라고 할 수는 없으나 밑술을 죽에서 범벅으로 발전시켰다면 사용하는 재료도 덧술에서는 찹쌀을 이용하는 것이 술의 질을 한 층 더 높일 수 있지 않았을까.

<산가요록>과 <양주방>에는 백미 13말을 사용하였는데 <수운잡방>에서는 백미 2되와 찹쌀 1말을 사용하고 있어 술의 양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450년대 대량으로 빚어지던 술이 1500년대 초에는 소량으로 빚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산가요록>의 진상주 제조법이 변하여 <수운잡방>의 제조법에 영향을 준 것이라 보기는 힘들 것이다. 단지, 우리의 전통가양주가 지역마다, 빚는 사람에 따라 술 제조법이 달랐기 때문에 다양한 술 제조법이 생겼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쌀 13말과 물 15말을 사용하는 <산가요록>의 진상주는 대량으로 빚어져 나라의 큰 행사에 쓰여진 것으로 보여지며 <수운잡방>의 진상주는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양으로 일반 가양주 형태로 술을 빚어 집안의 제사나 귀한 손님 접대를 위해 제조한 것이라 보여진다.

2006년 현재의 시각으로 진상주의 제조법을 보면 <산가요록>에서 진화하여 <양주방>의 진상주 제조법으로 변하였으며 <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에서 덧술을 찹쌀로 변경한다면 진상주의 진화가 마무리 되는 것은 아닐까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본다.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진상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1/10로 줄인 진상주 제조법을 올립니다.

1800년대 <역주방문>에 기록된 진상주 제조법

밑술
1. 백미 3되를 백세하여 가루낸다.
2. 끓는 물 7되를 부어 범벅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3. 누룩 7홉과 밀가루 3홉을 함께 섞어 술독에 담는다.

덧술
1. 백미 1말을 백세하여 물에 담갔다가 고두밥을 만든다.
2. 끓인 물 8되를 고두밥에 넣고 혼합하여 차게 식힌다.
3. 밑술과 누룩 5홉(수정)을 섞어 술독에 담았다가 익으면 쓴다.


10분의 1로 줄인 제조법은 이러하지만 덧술을 찹쌀로 한다면 더 맛 좋은 진상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가오는 추석에는 진상주를 빚어 제사상에 올리고 온 가족이 함께 마시면 좋을 것이다. 추석이 10월에 있으니 8월 말에서 9월 초에 빚으면 좋을 것이다.



수정내용  

1. 진상주가 기록된 문헌은 <양주방>이 아닌 <역주방문>
2. 덧술에 누룩 5홉이 추가로 들어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1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1 [2] 민속주 2012-06-24 4285
400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283
399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283
398 술빚기 Q&A. 5페이지 "379. 청주를 거르고 난 후"에서 질문 글.. [2] [3] 민속주 2012-08-31 4282
397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280
396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276
395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275
394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275
393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70
392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270
391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269
390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267
389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265
388 [re] &lt;b&gt;도토리술 제조법&lt;/b&gt; 호정 2007-10-25 4264
387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255
386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254
385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251
384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248
383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248
382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243
381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240
380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239
379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237
378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234
377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27
376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21
375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202
374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190
373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187
372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185
371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175
370 호박막걸리 질문입니다.~~ [3] 오야봉 2009-07-07 4170
369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156
368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154
367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4145
366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39
365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136
364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36
363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136
362 우왕좌왕 합니다,,, 막걸리와파전 2009-02-07 41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