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애주

조회 수 4074 추천 수 62 2006.08.04 12:55:06
밑술   멥쌀 1.6kg 가루내어
          생쑥 200g 정도를 물 7.2L를 붓고 한시간 정도 끓임
           끓인물로 범벅을 쑤고
            누룩(스승님 누룩)을 600g을 넣고 밑술 담금
             거의 하루만에 냉각시켜 3일만에 덧술을 함

덧술  찹쌀 8kg으로 고두밥(생쑥 200g 얹고)을 쪄
         누룩 400g 을 넣고 덧술해서 앉히고
          열흘만에 걸름

걸를때는 맛이 조금 달고 도수는 적당한거 같고 박하향 같은 것이 나고 빛깔은 연한 연두빛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맛이 아주 좋았는데 제가 보관을 잘못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대잎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아주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주인님과 여러 고수님들의 우리술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그리고 저희 남편의 오랜친구 희석식대신 제가 담근 우리술이 그 자리를 메꿀수 있도록 저도 노력을 많이 해야 될것 같습니다.
그럼,   날씨가 우리들을 힘들게 할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고 모두들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酒人

2006.08.06 23:34:22
*.61.225.98

누룩이 좀 많이 들어간 것 같기는 하지만 술 거를 때 맛이 괜찮았다면 술 제조법에는 큰 이상이 없는 듯 합니다. 다만, 밑술을 하루만에 냉각시켰다고 하셨는데요.

냉각을 시켰다는 것은 술독의 온도가 많이 상승했다는 것인데, 밑술의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혹시 보쌈을 하신 것은 아니죠? 요즘은 밑술을 찬 물에 담가 놓고 발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에 쑥술을 빚을 때에는 누룩을 밑술에 500g만 넣으셔도 될 것 같구요. 청주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 쑥을 끓일 때 12리터를 9리터가 되도록 한 다음에 사용하시면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술을 거를 때에는 가급적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작은 용기에 여러개 담는 것 보다는 큰 용기에 냉장고에 보관하셨다가 술이 맑아지면 여러개의 용기에 담는 것이 좋습니다.

잘 만들어진 쑥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술의 맛과 향이 좋아지며 술의 색은 연한 연두빛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술의 색깔은 완전히 말린 쑥이 가장 진하고, 중간 말린 것이 두번째, 생쑥을 사용했을 때가 세번째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쑥술 만드시길 바랍니다. 특히, 술을 잘 못하는 사람도 쑥술은 잘 먹는데요. 너무 많이 마시게 하지 마세요. 자신도 모르게 쓰러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 보통 소주 1병 드시는 분이 쑥술 1잔 드시면 주무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1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063
280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069
279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069
278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072
277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073
276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088
275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04
274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04
273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108
272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110
271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113
270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116
269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19
268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122
267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125
266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130
265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135
264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140
263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141
262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145
261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147
260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151
259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글렌모렌지 2007-05-20 5154
258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김진영 2007-12-27 5154
257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175
256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179
255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180
254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183
253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186
25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199
251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209
250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209
249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219
248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224
247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225
246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230
245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5235
244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240
243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243
24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2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