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애주

조회 수 4178 추천 수 62 2006.08.04 12:55:06
밑술   멥쌀 1.6kg 가루내어
          생쑥 200g 정도를 물 7.2L를 붓고 한시간 정도 끓임
           끓인물로 범벅을 쑤고
            누룩(스승님 누룩)을 600g을 넣고 밑술 담금
             거의 하루만에 냉각시켜 3일만에 덧술을 함

덧술  찹쌀 8kg으로 고두밥(생쑥 200g 얹고)을 쪄
         누룩 400g 을 넣고 덧술해서 앉히고
          열흘만에 걸름

걸를때는 맛이 조금 달고 도수는 적당한거 같고 박하향 같은 것이 나고 빛깔은 연한 연두빛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맛이 아주 좋았는데 제가 보관을 잘못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대잎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아주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주인님과 여러 고수님들의 우리술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그리고 저희 남편의 오랜친구 희석식대신 제가 담근 우리술이 그 자리를 메꿀수 있도록 저도 노력을 많이 해야 될것 같습니다.
그럼,   날씨가 우리들을 힘들게 할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고 모두들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酒人

2006.08.06 23:34:22
*.61.225.98

누룩이 좀 많이 들어간 것 같기는 하지만 술 거를 때 맛이 괜찮았다면 술 제조법에는 큰 이상이 없는 듯 합니다. 다만, 밑술을 하루만에 냉각시켰다고 하셨는데요.

냉각을 시켰다는 것은 술독의 온도가 많이 상승했다는 것인데, 밑술의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혹시 보쌈을 하신 것은 아니죠? 요즘은 밑술을 찬 물에 담가 놓고 발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에 쑥술을 빚을 때에는 누룩을 밑술에 500g만 넣으셔도 될 것 같구요. 청주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 쑥을 끓일 때 12리터를 9리터가 되도록 한 다음에 사용하시면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술을 거를 때에는 가급적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작은 용기에 여러개 담는 것 보다는 큰 용기에 냉장고에 보관하셨다가 술이 맑아지면 여러개의 용기에 담는 것이 좋습니다.

잘 만들어진 쑥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술의 맛과 향이 좋아지며 술의 색은 연한 연두빛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술의 색깔은 완전히 말린 쑥이 가장 진하고, 중간 말린 것이 두번째, 생쑥을 사용했을 때가 세번째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쑥술 만드시길 바랍니다. 특히, 술을 잘 못하는 사람도 쑥술은 잘 먹는데요. 너무 많이 마시게 하지 마세요. 자신도 모르게 쓰러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 보통 소주 1병 드시는 분이 쑥술 1잔 드시면 주무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554
521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559
520 완성된 술에 단맛 가미하는 방법 있을까요? [1] 랄랄 2012-06-11 4561
519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562
518 <b>여름 술 빚기, 어떻게 해야 하나..</b> [3] 酒人 2007-08-17 4572
517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579
516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4582
515 석탄주 밀봉 방법에 대해 (에어락) 질문입니다 ㅜ [1] 호박654 2020-04-16 4586
514 덧술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1] 민속주 2012-07-06 4591
513 주정계 와인 2010-11-24 4594
512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597
511 씨앗술입니다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05-20 4600
510 동정춘 밑술사진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2 4604
509 막거리 레시피 한번 봐주세요 [1] 오렌지컴 2014-10-02 4605
508 이화주 발효온도 [2] mekookbrewer 2021-02-28 4605
507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605
506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4607
505 덧술한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file [1] 루덴스 2019-05-20 4618
504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620
503 밑술범벅을 현미찹쌀로 할 경우 [1] 산에살다 2014-09-30 4623
502 덧술 시기는요? [1] 막걸남 2010-09-14 4625
501 [re] 고구마술 복드림 2009-01-16 4628
500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629
499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630
498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633
497 삼양주 범벅 질문입니다 file [1] 레오몬 2020-02-13 4635
496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640
495 누룩틀 [1] 우리술이좋아 2010-02-10 4641
494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647
493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652
492 동정춘 덧술 모습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6 4659
491 한번 더 덧술 시기에 대해 질문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7-01 4661
490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662
489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671
488 술덧이 더 안가라앉는 경우.. [2] 준우 2019-05-29 4671
487 술의 신맛잡기3 우리술이좋아 2010-11-09 4682
486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4694
485 석임과 밑술 궁금증 [2] 오렌지컴 2014-09-29 4697
484 밑술온도에 대해여... [3] 섬누룩 2009-11-27 4706
483 항아리 안쪽 표면에 희꽃 공팡이가... [2] 막걸남 2010-12-09 47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