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두가지 질문 입니다.

조회 수 4525 추천 수 84 2006.08.03 11:26:33
생쑥을 이용하여 애주를 담궜는데 여름이라 그런지 좀 신맛이 강해 빨리 걸러 냉장고(온도가 조금 높은곳)에 넣어 두었다가 5일정도 지난후에 맛을 보려고 흔들어서 뚜껑을 땄는데 분수처럼 솟아올라 거의 반병(PET병)정도는 밖으로 분출되어버렸습니다. 저의 좁은 소견으로는 후발효가 덜된 상태의 술을 온도가 조금 높은 곳에 두어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해서 그렇지 않았나 싶은데 주인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또 한가지는 대나무잎(죽엽)을 이용해 술을 담가보신적 있으신지요?
관심이 있있는데 이번에 한번 실험해 볼려고 합니다.  어떤맛이 나는지 어디에 좋은지 도움을 청합니다.  

酒人

2006.08.03 19:40:47
*.190.236.63

이선화님~ 집 안이 술 바다가 되셨네요.^^ 개인적으로는 그런 경험이 있어야 더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더라구요.

애주는 "이주의술술술"에 있는 "애주"를 빚으셨나요.? 가능하다면 정확한 제조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래야 저도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밑술에서 쌀의 양?
밑술에서 사용한 물의 양?
범벅? 죽?
사용한 누룩의 상태는?
얼마만에 술을 걸러 냉장고에 넣었는지?

일단 이것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나무잎으로 술을 빚은 적은 없어 정보를 드릴 수 없네요. 고문헌에 댓잎술이 있기는 한데 실질적으로 대나무 잎이 들어가는 술은 아니고 술의 색깔이 댓잎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거든요.

대나무 잎의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소갈을 멎게 하고 광물성 약독을 풀어 준다. 풍경(風痙), 후비(喉痺), 구토, 토혈(吐血), 열독풍(熱毒風), 악창을 낫게 하며 잔벌레를 죽인다.

○ 참대 잎에는 근대엽[ 葉], 담죽엽(淡竹葉), 고죽엽(苦竹葉) 3가지가 있다. 왕대[ 竹]는 둥글고 질이 굳은데 큰 것은 배의 상앗대를 만들 수 있고 가는 것은 피리를 만든다. 감죽(甘竹)은 왕대 비슷한데 가늘고 무성하다. 즉 솜대(淡竹)이다. 고죽은 흰 것과 자줏빛 나는 것이 있다[본초].

○ 왕대, 담죽이 상품이고 고죽은 그 다음 간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862
80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6895
79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2P 2012-04-18 6915
78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6967
77 감주빗기 [2] 우리술이좋아 2011-11-28 6980
76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6981
75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6995
74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지허 2011-07-03 7006
73 흑미주 빚는법... [1] 0심이 2011-04-14 7031
72 청주만들기 [2] 우리술이좋아 2010-01-21 7048
71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055
70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062
69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酒人 2007-10-22 7079
68 애주-물과쌀비율이.... [1] 선주도가 2011-05-04 7099
67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민속주 2012-07-08 7102
66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113
65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150
64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167
63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221
62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235
61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7266
60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301
59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311
58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324
57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342
56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351
55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354
54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377
53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453
52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468
51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492
50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548
49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565
4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673
47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766
46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7796
45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823
44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7855
43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7980
42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