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회 수 4998 추천 수 0 2014.04.21 11:47:24

불패주 레시피를 조금 변경(범벅생쌀죽)해 보았습니다.

 

1. 아래와 같이 하면 문제가 없을까요?

 

  ○ 밑술 : 생쌀죽(맵쌀3kg) + (9L) + 누룩(1kg)

     - 48시간후 1차덧술(실내온도 25도기준)

  ○ 덧술(1) : 생쌀죽(맵쌀4kg) + (9L)

    - 36시간후 2차덧술(실내온도 25도기준)

  ○ 덧술(2) : 찹쌀고두밥(13kg)

 

2. 생쌀죽 끓일 때 쌀은 얼마나  불려야 하나요?

 

3. 불패주와 호산춘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酒人

2014.04.23 08:45:40
*.228.35.18

안녕하세요.

1. 제조법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생쌀죽을 잘 쑤지 못하면 술은 바로 실패에요.
2. 쌀은 7시간 정도 충분히 불려 죽을 쑤세요.
3. 일단 술 제조법도 틀리고요. 불패주는 범벅 형태, 호산춘은 반생반숙으로 불패주가 더 호화된(익은)상태입니다.
그러다보니 끓는 모습도 틀리고 맛도 틀리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케이원

2014.04.29 14:44:01
*.99.234.250

답변 감사드립니다.
실패확율을 줄이기 위하여 본래 제조법인 범벅으로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해가 부족하여 추가로 질문드립니다.
1. "이주의 술술술"에 나와 있는 호산춘 제조법에는 밑술과 덧술(1)을 범벅으로 하도록 되어 있는데 위의 "반생반숙"이란 무슨 뜻인지요? 범벅과 반생반숙은 같은 뜻이 아닌지요?
2. "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에는 생쌀죽을 쌀을 씻고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죽을 만든다고 되어 있는데 7시간을 불려야 한다고 말씀하시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3. 또한 범벅과의 차이점으로 생쌀죽의 특징이 열거되어 있는데... 잘 쑤지 않으면 실패확율이 높은 이유가 궁금
합니다.
- 가루를 빻기 위해 방앗간에 가지 않아도 된다.
- 범벅을 만들기 위해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 언제라도 술을 빚고 싶을 때 응용할 수 있다.
- 무엇보다도 만들기가 쉽고 효모증식이 잘 이루어 진다.
4. 일반적으로 요즘 기온(실내온도 21~25도 기준)에 불패주 발효기간은 대충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물론 술이 고이는 상태는 계속 확인해 봐야겠지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5113

덧술하기에 관하여.... [4]

  • 공주
  • 2008-02-13
  • 조회 수 5112

술 거르는 시기 [1]

  • aladinn
  • 2015-03-26
  • 조회 수 5104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 酒人
  • 2006-07-19
  • 조회 수 5098

엿술의 단맛은? [2]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 서련
  • 2018-09-29
  • 조회 수 5093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 희진
  • 2023-03-21
  • 조회 수 5086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 북성
  • 2014-01-24
  • 조회 수 5083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 창힐
  • 2013-09-09
  • 조회 수 5083

[re] 술 담그는 방법 [1]

  • 酒人
  • 2008-10-27
  • 조회 수 5080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 곡향
  • 2015-08-20
  • 조회 수 5056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 창힐
  • 2012-08-23
  • 조회 수 5052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035

누룩만들기 [1]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 상갑
  • 2008-12-23
  • 조회 수 5023

오양주 효모 [4]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 酒人
  • 2006-06-01
  • 조회 수 5016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016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016

이양주빚을때... [2]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 비니
  • 2010-12-06
  • 조회 수 5012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증류주 보관법... [1]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5005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5004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 瑞香
  • 2017-03-19
  • 조회 수 5003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 석탄
  • 2009-03-07
  • 조회 수 5001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단양주 신맛 [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4968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