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약주란 무엇인가.</b>

조회 수 3096 추천 수 60 2006.07.28 08:45:20
약주에 대하여

약주(藥酒)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는 “약이 되는 술”과 별반 틀리지 않는다. 몸이 허약한 사람이나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그것이 곧 약주가 되는 것으로 술을 빚을 때 약재를 넣었다 하여 꼭 그 술이 약주가 되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가을에 흉년이 들었거나 봄에 비가 오지 않으면 곡식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수시로 “금주령’을 내리곤 했는데, “금주령”을 어긴 사람들은 유배를 보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형에 처하기도 했다. 또한, 몸이 허약해서 약으로 먹는 술은 금주령에서 제외시키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대부 집안에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몰래 술을 빚어 마셨으며 어쩌다 문제가 커지게 되더라도 “약(藥)” 으로서 술을 마셨다고 하면 그뿐이었다.

1486년 성종 17년 2월 29일에도 여지 없이 금주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그런데 화천군 권감 등이 모여 술을 마시다 발각되어 사헌주 지평 반우형이 와서 임금에게 와서 아뢰기를  

“화천군(花川君) 권감(權瑊) 등은 사리를 아는 대신으로서 모여 가지고 술을 마셨으니, 청컨대 국문하도록 하소서.” 라고 하니

성종이 말하기를

“이것은 모여서 술을 마신 것이 아니다. 내가 듣건대, 권감이 병이 났는데 이숭원과 김순명이 이웃 마을에 함께 살기에 그 병을 위문하러 갔더니, 마침 권감이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약술[藥酒]을 마시고 있었으므로, 잠시 서로 마셨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니 추문(推問)하지 말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술을 마셔도 그 술이 약으로서 먹는 술이면 금주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들은 금주령을 피해갈 수 있었으나 일반 힘 없는 백성들은 금주령에 걸리면 큰 벌을 받는 일이 빈번하여 법의 형평성에 큰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일반 백성이 술을 마시다 걸렸는데 “약주로 마신 것이요” 라고 말하면 …. 더 맞을 것이다. ^^

이렇듯 약주란 높은 집안 사람들에게는 금주령을 피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어떨 때에는 정말 약으로서 먹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힘 없는 사람들에게는 술이 곧 식량이고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약” 이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들만의 약술이었을 뿐이다.

글을 마치면서 1547년 <명종 2년 12월 3일> 임금과 대신들의 대화 내용을 옮겨 적는다.

“지금 금주령(禁酒令)을 이미 내렸는데 사대부들이 잔치하면서 술을 마시고 음악을 울리는 것이 풍년인 때와 다름이 없습니다. 이는 국법을 두려워할 줄을 모르고 멋대로 하는 것이니, 기강이 무엇을 말미암아서겠습니까. 낭청은 당상의 말을 행하지 않습니다. 사인(舍人)과 검상(檢詳)은 정승(政丞)의 낭청인데도 심지어 정승의 말을 거행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로 보아도 기강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기강을 닦는다면 어찌 이처럼 완만하겠습니까.” 라고 하자

임금이 답변하기를
“금주령을 단속하는 서리가 세력 없는 자는 잡아 처벌하고 이름 있는 조사(朝士)들이 있는 곳은 살펴볼 수가 없을 것이다. 이는 모두 시종과 대간들이 임금의 명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장리(贓吏)에 대한 조정의 법이 엄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지탱하지 못하고 점차 떠돌게 되니 어떻게 나라를 이끌어 가겠는가.” 라고 말하였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1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537
16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21
159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39
158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812
15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695
15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64
15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899
154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99
153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548
15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76
15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524
150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59
149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87
148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83
14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6
14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63
145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08
1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13
143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48
1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46
14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777
140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5
139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36
138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63
13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013
13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54
1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6
13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093
13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52
1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5
1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60
13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0
129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748
12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923
12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72
1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65
12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027
124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22
123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739
122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