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약주란 무엇인가.</b>

조회 수 3026 추천 수 60 2006.07.28 08:45:20
약주에 대하여

약주(藥酒)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는 “약이 되는 술”과 별반 틀리지 않는다. 몸이 허약한 사람이나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그것이 곧 약주가 되는 것으로 술을 빚을 때 약재를 넣었다 하여 꼭 그 술이 약주가 되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가을에 흉년이 들었거나 봄에 비가 오지 않으면 곡식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수시로 “금주령’을 내리곤 했는데, “금주령”을 어긴 사람들은 유배를 보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형에 처하기도 했다. 또한, 몸이 허약해서 약으로 먹는 술은 금주령에서 제외시키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대부 집안에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몰래 술을 빚어 마셨으며 어쩌다 문제가 커지게 되더라도 “약(藥)” 으로서 술을 마셨다고 하면 그뿐이었다.

1486년 성종 17년 2월 29일에도 여지 없이 금주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그런데 화천군 권감 등이 모여 술을 마시다 발각되어 사헌주 지평 반우형이 와서 임금에게 와서 아뢰기를  

“화천군(花川君) 권감(權瑊) 등은 사리를 아는 대신으로서 모여 가지고 술을 마셨으니, 청컨대 국문하도록 하소서.” 라고 하니

성종이 말하기를

“이것은 모여서 술을 마신 것이 아니다. 내가 듣건대, 권감이 병이 났는데 이숭원과 김순명이 이웃 마을에 함께 살기에 그 병을 위문하러 갔더니, 마침 권감이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약술[藥酒]을 마시고 있었으므로, 잠시 서로 마셨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니 추문(推問)하지 말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술을 마셔도 그 술이 약으로서 먹는 술이면 금주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들은 금주령을 피해갈 수 있었으나 일반 힘 없는 백성들은 금주령에 걸리면 큰 벌을 받는 일이 빈번하여 법의 형평성에 큰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일반 백성이 술을 마시다 걸렸는데 “약주로 마신 것이요” 라고 말하면 …. 더 맞을 것이다. ^^

이렇듯 약주란 높은 집안 사람들에게는 금주령을 피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어떨 때에는 정말 약으로서 먹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힘 없는 사람들에게는 술이 곧 식량이고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약” 이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들만의 약술이었을 뿐이다.

글을 마치면서 1547년 <명종 2년 12월 3일> 임금과 대신들의 대화 내용을 옮겨 적는다.

“지금 금주령(禁酒令)을 이미 내렸는데 사대부들이 잔치하면서 술을 마시고 음악을 울리는 것이 풍년인 때와 다름이 없습니다. 이는 국법을 두려워할 줄을 모르고 멋대로 하는 것이니, 기강이 무엇을 말미암아서겠습니까. 낭청은 당상의 말을 행하지 않습니다. 사인(舍人)과 검상(檢詳)은 정승(政丞)의 낭청인데도 심지어 정승의 말을 거행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로 보아도 기강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기강을 닦는다면 어찌 이처럼 완만하겠습니까.” 라고 하자

임금이 답변하기를
“금주령을 단속하는 서리가 세력 없는 자는 잡아 처벌하고 이름 있는 조사(朝士)들이 있는 곳은 살펴볼 수가 없을 것이다. 이는 모두 시종과 대간들이 임금의 명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장리(贓吏)에 대한 조정의 법이 엄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지탱하지 못하고 점차 떠돌게 되니 어떻게 나라를 이끌어 가겠는가.” 라고 말하였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348
80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562
79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538
78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4846
77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5932
76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4775
75 곡자(麯子,曲子)는 왜 曲자를 쓰나요? [2] 선선 2021-06-22 4607
74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358
73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9930
72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5595
71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15
70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4847
69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004
68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363
67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226
66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063
65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16
64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양조가궁금해 2021-10-24 4672
63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640
62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115
6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4923
60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575
59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3776
58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110
57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446
56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313
55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4887
54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031
53 쌀씻는 방법 여쭙니다 월출도가 2022-03-07 4554
52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mekookbrewer 2022-04-11 4476
5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466
50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135
4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470
48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3741
47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042
46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293
45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355
44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3809
43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3818
42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0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