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약주란 무엇인가.</b>

조회 수 3104 추천 수 60 2006.07.28 08:45:20
약주에 대하여

약주(藥酒)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는 “약이 되는 술”과 별반 틀리지 않는다. 몸이 허약한 사람이나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그것이 곧 약주가 되는 것으로 술을 빚을 때 약재를 넣었다 하여 꼭 그 술이 약주가 되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가을에 흉년이 들었거나 봄에 비가 오지 않으면 곡식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수시로 “금주령’을 내리곤 했는데, “금주령”을 어긴 사람들은 유배를 보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형에 처하기도 했다. 또한, 몸이 허약해서 약으로 먹는 술은 금주령에서 제외시키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대부 집안에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몰래 술을 빚어 마셨으며 어쩌다 문제가 커지게 되더라도 “약(藥)” 으로서 술을 마셨다고 하면 그뿐이었다.

1486년 성종 17년 2월 29일에도 여지 없이 금주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그런데 화천군 권감 등이 모여 술을 마시다 발각되어 사헌주 지평 반우형이 와서 임금에게 와서 아뢰기를  

“화천군(花川君) 권감(權瑊) 등은 사리를 아는 대신으로서 모여 가지고 술을 마셨으니, 청컨대 국문하도록 하소서.” 라고 하니

성종이 말하기를

“이것은 모여서 술을 마신 것이 아니다. 내가 듣건대, 권감이 병이 났는데 이숭원과 김순명이 이웃 마을에 함께 살기에 그 병을 위문하러 갔더니, 마침 권감이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약술[藥酒]을 마시고 있었으므로, 잠시 서로 마셨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니 추문(推問)하지 말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술을 마셔도 그 술이 약으로서 먹는 술이면 금주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들은 금주령을 피해갈 수 있었으나 일반 힘 없는 백성들은 금주령에 걸리면 큰 벌을 받는 일이 빈번하여 법의 형평성에 큰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일반 백성이 술을 마시다 걸렸는데 “약주로 마신 것이요” 라고 말하면 …. 더 맞을 것이다. ^^

이렇듯 약주란 높은 집안 사람들에게는 금주령을 피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어떨 때에는 정말 약으로서 먹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힘 없는 사람들에게는 술이 곧 식량이고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약” 이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들만의 약술이었을 뿐이다.

글을 마치면서 1547년 <명종 2년 12월 3일> 임금과 대신들의 대화 내용을 옮겨 적는다.

“지금 금주령(禁酒令)을 이미 내렸는데 사대부들이 잔치하면서 술을 마시고 음악을 울리는 것이 풍년인 때와 다름이 없습니다. 이는 국법을 두려워할 줄을 모르고 멋대로 하는 것이니, 기강이 무엇을 말미암아서겠습니까. 낭청은 당상의 말을 행하지 않습니다. 사인(舍人)과 검상(檢詳)은 정승(政丞)의 낭청인데도 심지어 정승의 말을 거행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로 보아도 기강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기강을 닦는다면 어찌 이처럼 완만하겠습니까.” 라고 하자

임금이 답변하기를
“금주령을 단속하는 서리가 세력 없는 자는 잡아 처벌하고 이름 있는 조사(朝士)들이 있는 곳은 살펴볼 수가 없을 것이다. 이는 모두 시종과 대간들이 임금의 명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장리(贓吏)에 대한 조정의 법이 엄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지탱하지 못하고 점차 떠돌게 되니 어떻게 나라를 이끌어 가겠는가.” 라고 말하였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1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7173
80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192
79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酒人 2007-10-22 7192
78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지허 2011-07-03 7206
77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7216
76 흑미주 빚는법... [1] 0심이 2011-04-14 7224
75 청주만들기 [2] 우리술이좋아 2010-01-21 7233
74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민속주 2012-07-08 7300
73 애주-물과쌀비율이.... [1] 선주도가 2011-05-04 7305
72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7336
71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360
70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369
69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390
68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483
67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491
66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493
65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516
64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531
63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564
62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7574
61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593
60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593
59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639
58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659
57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711
56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732
55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737
54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767
53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768
52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770
5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773
50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7816
49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7840
4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871
47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923
46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962
45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8087
44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8263
43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291
42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837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