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조회 수 5071 추천 수 53 2006.07.19 11:03:00

여과를 하면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여과를 하는 방식은 아주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 가정에서는 용기에 술을 넣어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맑아진 술을 사용하거나 용수를 박아 맑아지면 사용합니다.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다 “중력”^^ 을 이용한 여과 방법인데요. 무거운 것은 아래로 가라 앉고 위에는 대부분 가벼운 것만 남아 있게 됩니다. 여기서 위에 맑은 것을 마시면 탁주로 마셨을 때 보다 맛이 “싱겁다” 라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10 가지의 맛이 있다고 했을 때 탁주는 1~10가지의 모든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지만 위에 뜬 맑은 술은 10가지 맛 중에서 3가지 정도의 가벼운 맛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싱겁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럼 1~10가지의 맛을 다 느끼면서 맑은 술을 얻을 수는 없을까.

탁주로 마시기 전에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10가지의 맛 중에서 좀 더 많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능한데요. 또 이렇게 하려면 돈이 들겠죠. 장비가 필요하니까요. 보통 양조장에서 사용하는 여과기를 사용하면 일반가정에서 맑은 후에 사용하는 것 보다는 많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활성탄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그럼 돈 들이지 않고 맛 좋은 청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있습니다. 술 자체의  당도를 높게 만들면 일반 가정에서 여과하는 방식으로 술을 맑게 만들어도 “싱겁다”라거나 “밍밍하다.”라는 느낌 없이 맛 좋은 청주를 마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당분이 남아있는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에서 두 가지 정도를 소개하려 합니다.

1. 삼양주의 술을 빚는다.

단양주 보다는 이양주가 이양주 보다는 삼양주의 술에서 좀 더 알코올 도수가 높고 당도가 깊은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화주처럼 단양주의 술로 달콤한 술을 얻을 수는 있겠으나 청주의 양이 적어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물론 탁주로 마신다면 상관없겠죠.

이렇게 삼양주로 만든 술은 밑술에 덧술,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술을 빚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겠으나 술의 양이 많아지고 높은 도수과 당분이 남아있는 좋은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밑술만 잘 되면 삼양주까지는 큰 문제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완전 발효가 진행되기 전에 술을 거른다.

완전 발효가 진행되면 술에 당분이 남아있지 않아 싱거운 맛을 잡을 수 없습니다. 또한 완전 발효시에는 술에서 느끼한 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완전 발효시까지 기다리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술이 위에 맑게 고이기 전에 술을 걸러야 합니다.

걸러 놓은 술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위에 맑은 술을 따로 떠내서 유리병에 보관하면 당분이 남아 있는 청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청주는 유리병 안에서 더욱 맛과 향을 가지기 때문에 명주로서 손색이 없습니다.

이상 두 가지 방법으로 술을 제조하여 청주를 만들면 소주만큼 독하고 단 향이 살아있어 목으로 잘 넘어가는 맛 좋은 명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박관수

2006.07.28 07:53:34
*.216.51.183

또 한줌의 지식을 갖게 되었네요 고맙읍니다.

酒人

2006.07.29 02:00:57
*.61.227.31

제가 가장 기분 좋을 때가 이렇게 써 놓은 글에 답글을 달아주는 것입니다. ^^ 비판을 해도 좋으니 박관수님과 같은 분이 많았으면 소원이 없겠습니다.^^

자주 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349
80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562
79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539
78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4846
77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5933
76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4775
75 곡자(麯子,曲子)는 왜 曲자를 쓰나요? [2] 선선 2021-06-22 4609
74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359
73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9930
72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5597
71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17
70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4848
69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005
68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365
67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227
66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063
65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16
64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양조가궁금해 2021-10-24 4673
63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640
62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115
6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4923
60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575
59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3777
58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110
57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447
56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313
55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4888
54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033
53 쌀씻는 방법 여쭙니다 월출도가 2022-03-07 4557
52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mekookbrewer 2022-04-11 4476
5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467
50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137
4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470
48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3741
47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043
46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294
45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356
44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3809
43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3819
42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0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