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넌 왜 범벅으로 술을 빚냐~?!</b>

조회 수 4653 추천 수 54 2006.07.04 06:06:45

범벅으로 밑술을 잡는 이유

몇 몇 분들께서 저에게 이런 질문을 합니다.

“주로 범벅으로 술을 빚으시네요.”

그럼 저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범벅으로 밑술을 하면 간단하고 술이 잘 되거든요.”

거의 여기서 끝을 냅니다. 더 깊숙이 이야기 해봐야 서로 머리만 아프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그 깊숙이를 이야기 하려 합니다.

[ 조선 초기 술의 주도권이 사찰에서 가정으로 넘어오면서 대량으로 빚는 제조법이 그대로 일반 가정으로 전수됩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이렇게 많은 양의 술은 필요가 없었죠.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술 빚는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조선 초기에 한 가지 술을 빚기 위해 사용된 쌀의 양이 8말 정도, 조선 중기로 가면 6말 정도로 줄어들며 후기에 가면 3말로 급격히 줄어들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밑술을 빚는 방법도 점차 달라지는데요. 조선 초기에는 밑술을 주로 “죽”으로 빚었습니다. 그런 것이 조선 중기를 거치면서 “죽”보다는 “범벅”의 비율이 많아지게 되고 조선 후기로 가면 대부분이 “범벅”으로 밑술을 빚고 있습니다.

이것은 밑술을 제조하는데 있어 “죽” 보다는 “범벅”으로 빚는 술이 잘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것이라 생각합니다. 즉, 제가 “범벅”으로 빚는 밑술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가 범벅으로 가고 있었고, 저 또한 여러 술을 빚다 보니 “죽” 보다는 “범벅”이 술이 잘 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물론 “죽”으로 빚는 밑술과 “범벅”으로 빚는 밑술은 분명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이 차이를 크게 생각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죽”으로 빚는 술이 “범벅”으로 빚은 술 보다 맛과 향이 탁월하고 술이 잘 되었으면 시대가 지나도 “죽”으로 빚는 술은 점점 발전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시대는 분명 조선 초기 “죽”에서 조선 중기, 후기에 들어와서는 “범벅”으로 가고 있는 것을 많은 문헌을 보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즉, “범벅”은 시대의 흐름이었던 것입니다. ]


대강 이러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그렇다고 죽으로 빚는 술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옛부터 죽으로 빚어왔던 술들은 계속해서 그 전통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죽 보다는 점점 범벅으로 가고 있었다는 것을 참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술을 처음 빚는 사람들을 위해 <초일주> 방문을 올려 놓았는데요. <초일주> 또한 밑술을 범벅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초일주> 제조법을 그냥 덩그러니 올려 놓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실패를 거듭하면서 가능한 실패를 줄이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제조법이니 술을 처음 빚고자 하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옛날 사람들도 저와 같이 죽으로 밑술을 했을 때, 죽이 타는 문제, 산패의 문제 등을 고민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고민과 고민이 점점 수정 보완 되면서 그 결과물로 “범벅”쪽으로 제조법이 발전하게 된 것이라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1 [re] &lt;b&gt;도토리술 제조법&lt;/b&gt; 호정 2007-10-25 4209
440 주경야독? [2] 농부의 아내 2009-03-21 4206
439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04
438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198
437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195
436 석임과 밑술 궁금증 [2] 오렌지컴 2014-09-29 4187
435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186
434 한번 더 덧술 시기에 대해 질문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7-01 4180
433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179
432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178
431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177
430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177
429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174
428 이화주 발효온도 [2] mekookbrewer 2021-02-28 4170
427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167
426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167
425 술덧이 더 안가라앉는 경우.. [2] 준우 2019-05-29 4166
424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164
423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155
422 밑술범벅을 현미찹쌀로 할 경우 [1] 산에살다 2014-09-30 4149
421 덧술한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file [1] 루덴스 2019-05-20 4148
420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1 [2] 민속주 2012-06-24 4146
419 술빚기 Q&A. 5페이지 "379. 청주를 거르고 난 후"에서 질문 글.. [2] [3] 민속주 2012-08-31 4143
418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141
417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139
416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130
415 얼그레이(홍차) 탁주를 빚어보고 싶습니다. [2] 준열바 2023-08-14 4123
414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122
413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119
412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118
411 삼양주 범벅 질문입니다 file [1] 레오몬 2020-02-13 4116
410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114
409 술빚기 관련 질문은 아닌데 꼭좀 읽어주세요 [1] 곰술 2014-01-18 4112
408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112
407 이런 경우도 가능할까요? [1] 둘레길 2013-07-19 4106
406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103
405 석탄주 밀봉 방법에 대해 (에어락) 질문입니다 ㅜ [1] 호박654 2020-04-16 4097
404 막거리 레시피 한번 봐주세요 [1] 오렌지컴 2014-10-02 4097
403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4087
402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08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