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조회 수 3995 추천 수 66 2006.06.12 13:12:33
총 3개월 동안 10도 이하의 저온으로 세번의 걸쳐 덧술을 한 삼양주를 걸러

한달째 숙성중입니다.

총 두번의 렉킹을 거쳐 많이 맑아진 술을 병입하였습니다.

그때 맛을 잠깐 보았는데..대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맛을 내긴 했지만..

시장에서 파는 정체불명의 누룩으로 작업한거라서 그런지 알콜끼가 약간 톡 쏘

면서 매운맛을 내는군요...

경험상 알콜이 쏘는건 아무래도 숙성을 거치면서 없어지는것 같은데...

이번에 끝에나는 매운맛은....영...

이걸 어떻게 매운잡을 잡아야 할지....많은 고민이 되는군요....

약간의 매운맛은 술맛을 돋우지만 이번처럼 강한 매운맛은 첨 격는 경우라...

많이 당황스럽군요....에효...누룩이 없으면 작업하질 말것을....쩝.

급한맘에 시장표 누룩을 사용하였더니....5개월 작업이 허사로 돌아갈까

조바심이 나는군요...

실패한다면...... 내 찹쌀 20키로 돌리도.......앙~~~~앙~~~~

酒人

2006.06.12 15:50:50
*.61.225.79

박상진님 안녕하세요.~ 그런데 쌀 아까워서 어떻게 해요 ^^

보통 매운맛이라 하면 불닭이나 안주로 많이 쓰이는 골뱅이무침 같은 것들을 생각하게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술 맛을 표현하는 ‘매운맛’은 이러한 음식에서 나는 매운맛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연관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보통 음식이 너무 매우면 설탕 등 단맛이 나는 것을 넣어 매운맛을 죽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단맛이 없기 때문에 매운맛이 더욱 매운 것입니다.

김상진님께서 5개월간 삼양주를 빚으면서 술 속에 있는 당분이 모두 발효되어 잔당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술의 알코올 도수가 높더라도 소량의 당분이 남아있으면 매운맛은 많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소량의 당분이 남았더라도 단맛이 알코올에 묻혀 단맛은 그리 많이 나지는 않겠지만 좋은 향기는 갖게 되어 매운맛을 많이 죽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술이 완성된 상태라 잔당을 남길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설탕을 첨가해서 매운맛을 죽일 수도 없는 일이구요. 꿀이 있으시면 꿀을 술에 넣고 40-50도로 술을 중탕하였다가 차게 해서 마시면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5개월 동안 정성껏 빚으셨으니 못 먹을 정도만 아니면 그냥 드시는 것이 어떨까요. 병입까지 하셨고, 요즘 날씨도 더운데 여러 가지 혼합하는 과정에서 술의 변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까요.

먹을 정도가 아니면 술을 고치기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높으니까 증류를 해서 증류주나 과하주를 만드는 방법도 좋을 듯 합니다. 술 제조법과 맛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드릴 수 없네요.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박상진

2006.06.12 17:03:05
*.33.198.251

흐..답변감사합니다.....못먹을 정도는 아니고..생각보다 맛이 없었다 이런표현이 맞겠지요....여지껏 작업중에 젤 맛없는 술이 나온듯하여.....

매운맛만 조금 중화되면 더 맛있을거 같아서....흐....

아무튼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370
80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583
79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552
78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4865
77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5946
76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4785
75 곡자(麯子,曲子)는 왜 曲자를 쓰나요? [2] 선선 2021-06-22 4621
74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372
73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9963
72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5612
71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32
70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4863
69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024
68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380
67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241
66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077
65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26
64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양조가궁금해 2021-10-24 4690
63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653
62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133
6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4937
60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587
59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3793
58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120
57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463
56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337
55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4905
54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042
53 쌀씻는 방법 여쭙니다 월출도가 2022-03-07 4570
52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mekookbrewer 2022-04-11 4491
5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482
50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151
4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483
48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3757
47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052
46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311
45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373
44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3823
43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3833
42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03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