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조회 수 4072 추천 수 66 2006.06.12 13:12:33
총 3개월 동안 10도 이하의 저온으로 세번의 걸쳐 덧술을 한 삼양주를 걸러

한달째 숙성중입니다.

총 두번의 렉킹을 거쳐 많이 맑아진 술을 병입하였습니다.

그때 맛을 잠깐 보았는데..대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맛을 내긴 했지만..

시장에서 파는 정체불명의 누룩으로 작업한거라서 그런지 알콜끼가 약간 톡 쏘

면서 매운맛을 내는군요...

경험상 알콜이 쏘는건 아무래도 숙성을 거치면서 없어지는것 같은데...

이번에 끝에나는 매운맛은....영...

이걸 어떻게 매운잡을 잡아야 할지....많은 고민이 되는군요....

약간의 매운맛은 술맛을 돋우지만 이번처럼 강한 매운맛은 첨 격는 경우라...

많이 당황스럽군요....에효...누룩이 없으면 작업하질 말것을....쩝.

급한맘에 시장표 누룩을 사용하였더니....5개월 작업이 허사로 돌아갈까

조바심이 나는군요...

실패한다면...... 내 찹쌀 20키로 돌리도.......앙~~~~앙~~~~

酒人

2006.06.12 15:50:50
*.61.225.79

박상진님 안녕하세요.~ 그런데 쌀 아까워서 어떻게 해요 ^^

보통 매운맛이라 하면 불닭이나 안주로 많이 쓰이는 골뱅이무침 같은 것들을 생각하게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술 맛을 표현하는 ‘매운맛’은 이러한 음식에서 나는 매운맛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연관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보통 음식이 너무 매우면 설탕 등 단맛이 나는 것을 넣어 매운맛을 죽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단맛이 없기 때문에 매운맛이 더욱 매운 것입니다.

김상진님께서 5개월간 삼양주를 빚으면서 술 속에 있는 당분이 모두 발효되어 잔당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술의 알코올 도수가 높더라도 소량의 당분이 남아있으면 매운맛은 많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소량의 당분이 남았더라도 단맛이 알코올에 묻혀 단맛은 그리 많이 나지는 않겠지만 좋은 향기는 갖게 되어 매운맛을 많이 죽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술이 완성된 상태라 잔당을 남길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설탕을 첨가해서 매운맛을 죽일 수도 없는 일이구요. 꿀이 있으시면 꿀을 술에 넣고 40-50도로 술을 중탕하였다가 차게 해서 마시면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5개월 동안 정성껏 빚으셨으니 못 먹을 정도만 아니면 그냥 드시는 것이 어떨까요. 병입까지 하셨고, 요즘 날씨도 더운데 여러 가지 혼합하는 과정에서 술의 변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까요.

먹을 정도가 아니면 술을 고치기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높으니까 증류를 해서 증류주나 과하주를 만드는 방법도 좋을 듯 합니다. 술 제조법과 맛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드릴 수 없네요.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박상진

2006.06.12 17:03:05
*.33.198.251

흐..답변감사합니다.....못먹을 정도는 아니고..생각보다 맛이 없었다 이런표현이 맞겠지요....여지껏 작업중에 젤 맛없는 술이 나온듯하여.....

매운맛만 조금 중화되면 더 맛있을거 같아서....흐....

아무튼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1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7138
80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7168
79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187
78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酒人 2007-10-22 7189
77 증류주를내리고싶은데어떻게해야하는지... [2] 지허 2011-07-03 7190
76 흑미주 빚는법... [1] 0심이 2011-04-14 7218
75 청주만들기 [2] 우리술이좋아 2010-01-21 7223
74 효소의 온도 의문점 [3] [1] 민속주 2012-07-08 7292
73 애주-물과쌀비율이.... [1] 선주도가 2011-05-04 7300
72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7310
71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350
70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363
69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380
68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462
67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7485
66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486
65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487
64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498
63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503
62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547
61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587
60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588
59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630
58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636
57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701
56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720
55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724
54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7740
53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750
52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756
51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759
50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766
49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7821
4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862
47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919
46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949
45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8081
44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8249
43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284
42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83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