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조회 수 4005 추천 수 66 2006.06.12 13:12:33
총 3개월 동안 10도 이하의 저온으로 세번의 걸쳐 덧술을 한 삼양주를 걸러

한달째 숙성중입니다.

총 두번의 렉킹을 거쳐 많이 맑아진 술을 병입하였습니다.

그때 맛을 잠깐 보았는데..대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맛을 내긴 했지만..

시장에서 파는 정체불명의 누룩으로 작업한거라서 그런지 알콜끼가 약간 톡 쏘

면서 매운맛을 내는군요...

경험상 알콜이 쏘는건 아무래도 숙성을 거치면서 없어지는것 같은데...

이번에 끝에나는 매운맛은....영...

이걸 어떻게 매운잡을 잡아야 할지....많은 고민이 되는군요....

약간의 매운맛은 술맛을 돋우지만 이번처럼 강한 매운맛은 첨 격는 경우라...

많이 당황스럽군요....에효...누룩이 없으면 작업하질 말것을....쩝.

급한맘에 시장표 누룩을 사용하였더니....5개월 작업이 허사로 돌아갈까

조바심이 나는군요...

실패한다면...... 내 찹쌀 20키로 돌리도.......앙~~~~앙~~~~

酒人

2006.06.12 15:50:50
*.61.225.79

박상진님 안녕하세요.~ 그런데 쌀 아까워서 어떻게 해요 ^^

보통 매운맛이라 하면 불닭이나 안주로 많이 쓰이는 골뱅이무침 같은 것들을 생각하게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술 맛을 표현하는 ‘매운맛’은 이러한 음식에서 나는 매운맛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연관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보통 음식이 너무 매우면 설탕 등 단맛이 나는 것을 넣어 매운맛을 죽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단맛이 없기 때문에 매운맛이 더욱 매운 것입니다.

김상진님께서 5개월간 삼양주를 빚으면서 술 속에 있는 당분이 모두 발효되어 잔당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술의 알코올 도수가 높더라도 소량의 당분이 남아있으면 매운맛은 많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소량의 당분이 남았더라도 단맛이 알코올에 묻혀 단맛은 그리 많이 나지는 않겠지만 좋은 향기는 갖게 되어 매운맛을 많이 죽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술이 완성된 상태라 잔당을 남길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설탕을 첨가해서 매운맛을 죽일 수도 없는 일이구요. 꿀이 있으시면 꿀을 술에 넣고 40-50도로 술을 중탕하였다가 차게 해서 마시면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5개월 동안 정성껏 빚으셨으니 못 먹을 정도만 아니면 그냥 드시는 것이 어떨까요. 병입까지 하셨고, 요즘 날씨도 더운데 여러 가지 혼합하는 과정에서 술의 변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까요.

먹을 정도가 아니면 술을 고치기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높으니까 증류를 해서 증류주나 과하주를 만드는 방법도 좋을 듯 합니다. 술 제조법과 맛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드릴 수 없네요.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박상진

2006.06.12 17:03:05
*.33.198.251

흐..답변감사합니다.....못먹을 정도는 아니고..생각보다 맛이 없었다 이런표현이 맞겠지요....여지껏 작업중에 젤 맛없는 술이 나온듯하여.....

매운맛만 조금 중화되면 더 맛있을거 같아서....흐....

아무튼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1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304
240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05
239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306
238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315
237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17
236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23
235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29
234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36
233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350
232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51
231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58
23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64
229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372
228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376
227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87
22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389
22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390
224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390
223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391
22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05
221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15
220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19
219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22
218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428
217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5429
216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40
215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452
214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57
213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495
212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498
21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17
210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521
209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39
208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41
207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희진 2023-03-10 5554
206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560
205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5581
204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587
203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589
202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5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