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5230 추천 수 91 2006.05.11 00:44:43
김상현님! 질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증류기는 크게 단식(회분식)증류기와 감압증류기가 있습니다. 감압증류기는 전문적인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글의 논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단식증류기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논의 대상인 스텐리스와 동 증류기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한 '동, 스텐리스, 옹기" 중에서 가장 맛이 좋은 증류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동고리" 입니다. 똑 같은 술을 증류했을 때, 동고리로 증류한 술에서는 소희 "단맛"이 더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때문에 유명 위스키 회사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가 있습니다. 현재 거의 모든 증류주 제조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입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로 증류주를 만들면 아무런 맛도 섞여 나오지 않습니다. 술 자체 그대로의 맛과 향이 배는 것입니다. 동고리와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이 토(土)고리인데, 제가 알기로 토고리로 만든 증류주의 품질이 다른 재료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물론 개인마다 느끼는 맛과 향이 틀릴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른 부분입니다.) 어쨋든 이 글에서 토고리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동과 스텐리스" 증륙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동 고리의 가장 큰 장점은 맛과 성형입니다. 맛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스텐리스보다 동을 이용한 증류기가 제품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증류주의 맛 때문에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에 동 조각을 넣어 증류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증류기의 가장 큰 단점은 "부식"입니다. 흔히 녹이 슨다고 하죠. 매일같이 증류를 한다면 이런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가정에서 매일같이 증류주를 제조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증류주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이러한 동 증류기의 부식때문에 지금은 모두 스텐리스 증류기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리고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감압증류기"는 모든 증류기가 스텐리스 증류기입니다. 그것은 동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증류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감압증류시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아주 취약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동 증류기가 뜨거울때 갑자기 찬 물을 붓게되면 오그라 듭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이 많지 않아 조언 드리기에 민망합니다. 다만 개인적은 의견을 드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동으로 증류기를 만들고 이 증류기가 부식되지 않도록 많은 정성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증류기의 머리 위에서 발 끝까지 손이 닺게 증류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 방법으로는 ..

"발효주가 들어가고 손이 쉽게 닺을 수 있는 부분은 "동"으로 만들고 손이 쉽게 닺지 않아 청소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스텐리스"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 아닐까 쉽습니다.

이것이 쉽지 않다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를 사용하시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재질의 특성상 동 증류기가 상대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비싸게 만들어서 관리를 못할 바에는 스텐리스 증류기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증류주는 증류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증류기의 재질이 아니라 숙성방식에서 증류주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증류기가 좋은 재질의 것이라면 더욱 좋겠지만요.

동 제품으로 증류주 실험을 하시는 것도 좋겠지만 아마 제 생각에는 벌써 증류기의 재질에 따른 증류주의 품질 평가에 관한 논문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자료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아마도 대부분 알고 있는 정보들이 아닐까 합니다. ^^  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상현

2006.05.11 22:14:20
*.82.11.43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酒人

2006.05.11 22:51:42
*.61.225.40

국립중앙도서관 학위논문실에 "증류기의 종류에 따른 소주의 향기 성분 비교연구" 논문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 논문이 정확히 무엇에 관해서 쓴 글인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된다 생각되면 자료를 구해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김상현

2006.05.11 22:56:25
*.82.11.43

그래 주신다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이번주 13일과14일에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가 있다고 하는데 참석 하실 예정이신지요? 만약 참석 하신다면 그때 한번 뵙으면 합니다.

酒人

2006.05.12 10:16:16
*.61.225.40

14일 일요일날 가게 될 것 같은데요. 오늘 지방에 내려갔다가 일요일날 올라올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언제 가게될지 모르겠으나 내일 제가 김상현님 핸드폰으로 연락을 드려 약속을 잡는 것은 어떠신지요.?

김상현

2006.05.12 10:34:20
*.101.41.166

네 연락 주십시요,

제 핸드폰 번호는 제 정보란에 수정해서 올려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21 부탄가스로 4kg 고두밥을 할수있을까요? [1] 마리아 2017-04-19 2727
720 두견주 질문드립니다. [1] 소학(笑鶴) 2017-04-10 2463
719 애주를 빚고싶습니다. [1] 소학(笑鶴) 2017-04-03 2702
718 우리밀로 막걸리를 만들고 싶습니다 [2] 삶을사랑한다 2017-03-31 2912
717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밑술 끓은지 36시간후에 덧술) [2] 瑞香 2017-03-26 2928
716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4991
715 복분자주 궁금한게 더있습니다. [2] 소학(笑鶴) 2017-03-06 2699
714 복분자주 질문합니다 ^^* [1] 소학(笑鶴) 2017-03-05 2286
713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4910
712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3353
711 밑술을 찹쌀로 해버렸는데... [2] 산에살다 2016-06-11 5783
710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062
709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089
708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백프로찹쌀 2016-05-01 3349
707 처음 빚어본 술맛?? [2] 청천뫼 2016-04-27 2712
706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4997
705 누룩법제방법에 대해 문의드려요 [1] 전통가양주최고 2016-03-22 4575
704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251
703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487
702 청주를 빚고 있는데요. 그냥 한번 봐주고 평가해주세요. [4] 기록하는자 2015-12-20 5970
701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우동국물 2015-11-18 5615
700 방문주 [1] 알리 2015-09-11 3813
699 주인님 사진의 이양주 거름시기 좀 가르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23 6178
698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048
697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14 5900
696 찐쌀로 이양주 빚으려고 합니다 [2] 오렌지컴 2015-07-25 4669
695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218
694 현미 막걸리 봐 주세요 ㅠ ㅠ file [1] 瑞香 2015-07-01 5845
693 향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행님 2015-06-29 4307
692 양파로 술을 담그면? [1] 창힐 2015-06-25 4640
691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4417
690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163
689 밑술이 끓어넘쳤습니다 file [1] synop 2015-06-09 4689
688 침출주 거르기 [1] 궁금증 2015-06-01 3782
687 쑥술 애주 주방문 하나 부탁 합니다. [2] 오렌지컴 2015-05-25 4535
686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110
685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5-05-19 3351
684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4809
683 초일주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3] synop 2015-05-07 3497
682 쌀누룩을 만들엇는데 얼마를 사용해서하는지..비율이? [1] 창힐 2015-04-14 564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