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5310 추천 수 91 2006.05.11 00:44:43
김상현님! 질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증류기는 크게 단식(회분식)증류기와 감압증류기가 있습니다. 감압증류기는 전문적인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글의 논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단식증류기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논의 대상인 스텐리스와 동 증류기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한 '동, 스텐리스, 옹기" 중에서 가장 맛이 좋은 증류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동고리" 입니다. 똑 같은 술을 증류했을 때, 동고리로 증류한 술에서는 소희 "단맛"이 더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때문에 유명 위스키 회사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가 있습니다. 현재 거의 모든 증류주 제조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입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로 증류주를 만들면 아무런 맛도 섞여 나오지 않습니다. 술 자체 그대로의 맛과 향이 배는 것입니다. 동고리와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이 토(土)고리인데, 제가 알기로 토고리로 만든 증류주의 품질이 다른 재료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물론 개인마다 느끼는 맛과 향이 틀릴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른 부분입니다.) 어쨋든 이 글에서 토고리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동과 스텐리스" 증륙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동 고리의 가장 큰 장점은 맛과 성형입니다. 맛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스텐리스보다 동을 이용한 증류기가 제품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증류주의 맛 때문에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에 동 조각을 넣어 증류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증류기의 가장 큰 단점은 "부식"입니다. 흔히 녹이 슨다고 하죠. 매일같이 증류를 한다면 이런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가정에서 매일같이 증류주를 제조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증류주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이러한 동 증류기의 부식때문에 지금은 모두 스텐리스 증류기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리고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감압증류기"는 모든 증류기가 스텐리스 증류기입니다. 그것은 동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증류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감압증류시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아주 취약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동 증류기가 뜨거울때 갑자기 찬 물을 붓게되면 오그라 듭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이 많지 않아 조언 드리기에 민망합니다. 다만 개인적은 의견을 드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동으로 증류기를 만들고 이 증류기가 부식되지 않도록 많은 정성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증류기의 머리 위에서 발 끝까지 손이 닺게 증류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 방법으로는 ..

"발효주가 들어가고 손이 쉽게 닺을 수 있는 부분은 "동"으로 만들고 손이 쉽게 닺지 않아 청소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스텐리스"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 아닐까 쉽습니다.

이것이 쉽지 않다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를 사용하시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재질의 특성상 동 증류기가 상대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비싸게 만들어서 관리를 못할 바에는 스텐리스 증류기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증류주는 증류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증류기의 재질이 아니라 숙성방식에서 증류주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증류기가 좋은 재질의 것이라면 더욱 좋겠지만요.

동 제품으로 증류주 실험을 하시는 것도 좋겠지만 아마 제 생각에는 벌써 증류기의 재질에 따른 증류주의 품질 평가에 관한 논문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자료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아마도 대부분 알고 있는 정보들이 아닐까 합니다. ^^  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상현

2006.05.11 22:14:20
*.82.11.43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酒人

2006.05.11 22:51:42
*.61.225.40

국립중앙도서관 학위논문실에 "증류기의 종류에 따른 소주의 향기 성분 비교연구" 논문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 논문이 정확히 무엇에 관해서 쓴 글인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된다 생각되면 자료를 구해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김상현

2006.05.11 22:56:25
*.82.11.43

그래 주신다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이번주 13일과14일에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가 있다고 하는데 참석 하실 예정이신지요? 만약 참석 하신다면 그때 한번 뵙으면 합니다.

酒人

2006.05.12 10:16:16
*.61.225.40

14일 일요일날 가게 될 것 같은데요. 오늘 지방에 내려갔다가 일요일날 올라올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언제 가게될지 모르겠으나 내일 제가 김상현님 핸드폰으로 연락을 드려 약속을 잡는 것은 어떠신지요.?

김상현

2006.05.12 10:34:20
*.101.41.166

네 연락 주십시요,

제 핸드폰 번호는 제 정보란에 수정해서 올려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1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345
280 만들고있는 이화곡의 상태에대해 물어보고싶습니다 file [1] Binmo 2023-09-11 5345
279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49
278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351
277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352
276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355
275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356
274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62
273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370
272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371
271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378
270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386
269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400
268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404
267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409
266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415
265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421
264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23
263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431
262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32
261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432
260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432
259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436
258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439
257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439
256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42
255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456
254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456
253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57
252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457
251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67
250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469
249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0
248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478
247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478
246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481
245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82
244 저온 발효 외부, 품온 온도 문의 [1] 머쓱타드 2023-08-12 5487
243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492
242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5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