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5327 추천 수 91 2006.05.11 00:44:43
김상현님! 질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증류기는 크게 단식(회분식)증류기와 감압증류기가 있습니다. 감압증류기는 전문적인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글의 논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단식증류기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논의 대상인 스텐리스와 동 증류기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한 '동, 스텐리스, 옹기" 중에서 가장 맛이 좋은 증류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동고리" 입니다. 똑 같은 술을 증류했을 때, 동고리로 증류한 술에서는 소희 "단맛"이 더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때문에 유명 위스키 회사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가 있습니다. 현재 거의 모든 증류주 제조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입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로 증류주를 만들면 아무런 맛도 섞여 나오지 않습니다. 술 자체 그대로의 맛과 향이 배는 것입니다. 동고리와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이 토(土)고리인데, 제가 알기로 토고리로 만든 증류주의 품질이 다른 재료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물론 개인마다 느끼는 맛과 향이 틀릴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른 부분입니다.) 어쨋든 이 글에서 토고리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동과 스텐리스" 증륙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동 고리의 가장 큰 장점은 맛과 성형입니다. 맛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스텐리스보다 동을 이용한 증류기가 제품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증류주의 맛 때문에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에 동 조각을 넣어 증류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증류기의 가장 큰 단점은 "부식"입니다. 흔히 녹이 슨다고 하죠. 매일같이 증류를 한다면 이런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가정에서 매일같이 증류주를 제조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증류주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이러한 동 증류기의 부식때문에 지금은 모두 스텐리스 증류기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리고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감압증류기"는 모든 증류기가 스텐리스 증류기입니다. 그것은 동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증류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감압증류시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아주 취약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동 증류기가 뜨거울때 갑자기 찬 물을 붓게되면 오그라 듭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이 많지 않아 조언 드리기에 민망합니다. 다만 개인적은 의견을 드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동으로 증류기를 만들고 이 증류기가 부식되지 않도록 많은 정성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증류기의 머리 위에서 발 끝까지 손이 닺게 증류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 방법으로는 ..

"발효주가 들어가고 손이 쉽게 닺을 수 있는 부분은 "동"으로 만들고 손이 쉽게 닺지 않아 청소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스텐리스"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 아닐까 쉽습니다.

이것이 쉽지 않다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를 사용하시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재질의 특성상 동 증류기가 상대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비싸게 만들어서 관리를 못할 바에는 스텐리스 증류기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증류주는 증류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증류기의 재질이 아니라 숙성방식에서 증류주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증류기가 좋은 재질의 것이라면 더욱 좋겠지만요.

동 제품으로 증류주 실험을 하시는 것도 좋겠지만 아마 제 생각에는 벌써 증류기의 재질에 따른 증류주의 품질 평가에 관한 논문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자료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아마도 대부분 알고 있는 정보들이 아닐까 합니다. ^^  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상현

2006.05.11 22:14:20
*.82.11.43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酒人

2006.05.11 22:51:42
*.61.225.40

국립중앙도서관 학위논문실에 "증류기의 종류에 따른 소주의 향기 성분 비교연구" 논문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 논문이 정확히 무엇에 관해서 쓴 글인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된다 생각되면 자료를 구해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김상현

2006.05.11 22:56:25
*.82.11.43

그래 주신다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이번주 13일과14일에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가 있다고 하는데 참석 하실 예정이신지요? 만약 참석 하신다면 그때 한번 뵙으면 합니다.

酒人

2006.05.12 10:16:16
*.61.225.40

14일 일요일날 가게 될 것 같은데요. 오늘 지방에 내려갔다가 일요일날 올라올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언제 가게될지 모르겠으나 내일 제가 김상현님 핸드폰으로 연락을 드려 약속을 잡는 것은 어떠신지요.?

김상현

2006.05.12 10:34:20
*.101.41.166

네 연락 주십시요,

제 핸드폰 번호는 제 정보란에 수정해서 올려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02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200
601 석탄주 빚고 싶네요. [1] 지량 2014-09-08 4201
600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4205
599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211
598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접속 하였습니다 청주의 보관법에 대해서 여쭤볼려구요 [1] 건강=행복의 밑거름 2014-02-16 4214
597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231
596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4235
595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38
594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38
593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238
592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246
591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247
590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4249
589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250
588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258
587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260
586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264
585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266
584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266
583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4271
582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272
581 [re] &lt;b&gt;도토리술 제조법&lt;/b&gt; 호정 2007-10-25 4278
580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283
579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86
578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293
577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296
576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300
575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301
574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303
573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304
572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307
571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312
570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313
569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314
568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325
567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1 [2] 민속주 2012-06-24 4327
566 [re] 답변입니다. ^^ [2] 酒人 2008-12-12 4328
565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332
564 술빚기 Q&A. 5페이지 "379. 청주를 거르고 난 후"에서 질문 글.. [2] [3] 민속주 2012-08-31 4333
563 소주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3] 두메 2009-01-23 433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