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조회 수 4566 추천 수 49 2006.04.08 08:42:53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술 종류와 도구들이 준비됐다면 전쟁터에 나갈 준비는 다 끝난 것입니다. 이제 준비된 재료와 도구들을 이용해 술을 빚어야겠죠.


쌀 씻기 잘하면 반은 성공

일반적으로 집에서 밥 할때 처럼 쌀을 씻으면 80%는 술이 실패할 것입니다. 반대로 쌀씻기를 잘 하면 술빚기의 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그만큼 쌀 씻는 것이 중요하단 이야기 입니다.

* 멥쌀, 찹쌀 상관없이 쌀은 최대한 깨끗하게 씻어줘야 합니다.

쌀 표면에 붙어있는 미세한 이물질들을 잘 씻어주지 않으면 술을 빚어 술독에 담았을때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쌀 전체가 아닌 쌀 속에 들어있는 "녹말(전분)"입니다.

전분이 쌀 속에 있기 때문에 쌀을 많이 씻는다 해도 전분까지 달아나는 일은 없습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그렇게 깨끗하게 씻지 않아도 됩니다. 그것은 쌀 표면에 많은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이것들이 몸에 들어가서 좋은 역활을 해 주기때문에 그지 깨끗하게 씻어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술 빚는 쌀을 먹는 것은 인간이 아닌 "미생물"입니다. 미생물이 술독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주의의 잡균들과 싸움을 시작하는데, 만약 쌀 자체에 이물질이나 잡균이 함께 들어온다면 미생물을 살아 남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면 술이 실패하는 것이죠.



쌀 씻는 순서

1. 쌀의 양에 맞는 용기를 준비하여 쌀을 담는다.
2. 물로 2~3번 헹궈 이물질을 제거한다.
3. 다시 물을 담고 손을 펴서 쌀의 중간 부분에 넣는다.
4. 손을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돌려 쌀 알갱이들이 원심력에 의해 씻기도록 한다.(이때, 손에 너무 힘을 주게 되면 쌀 알갱이가 깨지게 되니 주의한다.)
5. 기본적으로 이렇게 100번 손으로 돌려주고 나서 물을 버리는 것을 3회정도 반복한다.(쌀 표면에 있는 이물질 제거)
6. 이렇게 3회정도 반복 한 후에 용기에 흐르는 물을 넣어 남아있는 미세물질을 제거한다.



물에 담가두기

깨끗이 씻은 쌀을 물에 하룻밤 담가두는 과정이다.

1. 깨끗한 물과 용기를 준비한다.
2. 잘 씻은 쌀을 물에 담가 둔다. (1-2 시간 정도)
25% 정도 수분 흡수

이렇게 쌀을 침지하는 시간이 다른 이유는

3. 물에 담가 놓았던 쌀을 다시 깨끗한 물로 헹군다.

(이물질 제거와 물속에 녹아든 발효에 필요없는 영양소의 제거가 목적이다.)


주의>

1. 쌀을 다 씻어 물에 담가 놓을 때, 먼지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신문 등을 이용해서 잘 덮어 줍니다.

2. 쌀을 다 씻어 물에 담가 놓을 때, 물을 충분히 넣어줘야 합니다. 쌀 표면위로  5cm정도 올라오도록 해야 합니다.(쌀이 물을 흡수해서, 물을 적게 넣어주면 쌀 표면과 공기가 그대로 접촉하게 됩니다. 조심 조심)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2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18
201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6036
200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40
199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6051
198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065
197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6067
196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070
195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6070
194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074
193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6080
192 이양주에서 삼양주 사진 file [2] johnfrankl0 2012-06-02 6090
191 술이 자꾸 걸쭉하게 나오는 이유;;; file [4] 연필꽂이 2020-10-31 6095
190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6096
189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112
188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우동국물 2015-11-18 6124
187 술 온도와 맛의 변화 [2] 시작은 천천히 2012-03-30 6131
186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6136
185 단양주 질문있습니다. [1] hctor 2023-10-11 6139
184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酒人 2009-12-29 6144
183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보리콩 2011-02-11 6144
182 콩이 들어가는 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집중호우 2007-12-07 6145
181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1] alpha 2012-01-27 6146
180 거르기 궁금증 [1] 키키요 2021-04-07 6164
179 쌀누룩을 만들엇는데 얼마를 사용해서하는지..비율이? [1] 창힐 2015-04-14 6172
178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190
177 옥수수술 질문입니다~~ [1] sujann00 2012-02-01 6193
176 삼양주 제조과정에서 젓기,뚜껑밀봉 시기 [1] 이미남 2019-07-02 6207
175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210
174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214
173 류가향 질문 file [1] 헤나 2020-12-28 6220
172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2] 酒人 2007-11-10 6249
171 생막걸리 장기보관을 위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Jack39 2023-10-21 6257
170 알콜 도수 [4] 깡오리 2014-02-26 6275
169 솔잎 넣고 삼양주하는 법 file [1] 정정희 2021-04-18 6283
168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희진 2023-10-09 6309
167 밑술을 찹쌀로 해버렸는데... [2] 산에살다 2016-06-11 6310
166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6325
165 삼양주 쓴 뒷맛 [4] mekookbrewer 2020-09-22 6325
164 누룩에 관하여~~ [14] 한나다나 2007-10-19 6330
163 신맛이 살짝 드는 술. 잘된 술인가? [2] 내사랑 2008-12-07 634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