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조회 수 4608 추천 수 49 2006.04.08 08:42:53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술 종류와 도구들이 준비됐다면 전쟁터에 나갈 준비는 다 끝난 것입니다. 이제 준비된 재료와 도구들을 이용해 술을 빚어야겠죠.


쌀 씻기 잘하면 반은 성공

일반적으로 집에서 밥 할때 처럼 쌀을 씻으면 80%는 술이 실패할 것입니다. 반대로 쌀씻기를 잘 하면 술빚기의 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그만큼 쌀 씻는 것이 중요하단 이야기 입니다.

* 멥쌀, 찹쌀 상관없이 쌀은 최대한 깨끗하게 씻어줘야 합니다.

쌀 표면에 붙어있는 미세한 이물질들을 잘 씻어주지 않으면 술을 빚어 술독에 담았을때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쌀 전체가 아닌 쌀 속에 들어있는 "녹말(전분)"입니다.

전분이 쌀 속에 있기 때문에 쌀을 많이 씻는다 해도 전분까지 달아나는 일은 없습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그렇게 깨끗하게 씻지 않아도 됩니다. 그것은 쌀 표면에 많은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이것들이 몸에 들어가서 좋은 역활을 해 주기때문에 그지 깨끗하게 씻어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술 빚는 쌀을 먹는 것은 인간이 아닌 "미생물"입니다. 미생물이 술독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주의의 잡균들과 싸움을 시작하는데, 만약 쌀 자체에 이물질이나 잡균이 함께 들어온다면 미생물을 살아 남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면 술이 실패하는 것이죠.



쌀 씻는 순서

1. 쌀의 양에 맞는 용기를 준비하여 쌀을 담는다.
2. 물로 2~3번 헹궈 이물질을 제거한다.
3. 다시 물을 담고 손을 펴서 쌀의 중간 부분에 넣는다.
4. 손을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돌려 쌀 알갱이들이 원심력에 의해 씻기도록 한다.(이때, 손에 너무 힘을 주게 되면 쌀 알갱이가 깨지게 되니 주의한다.)
5. 기본적으로 이렇게 100번 손으로 돌려주고 나서 물을 버리는 것을 3회정도 반복한다.(쌀 표면에 있는 이물질 제거)
6. 이렇게 3회정도 반복 한 후에 용기에 흐르는 물을 넣어 남아있는 미세물질을 제거한다.



물에 담가두기

깨끗이 씻은 쌀을 물에 하룻밤 담가두는 과정이다.

1. 깨끗한 물과 용기를 준비한다.
2. 잘 씻은 쌀을 물에 담가 둔다. (1-2 시간 정도)
25% 정도 수분 흡수

이렇게 쌀을 침지하는 시간이 다른 이유는

3. 물에 담가 놓았던 쌀을 다시 깨끗한 물로 헹군다.

(이물질 제거와 물속에 녹아든 발효에 필요없는 영양소의 제거가 목적이다.)


주의>

1. 쌀을 다 씻어 물에 담가 놓을 때, 먼지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신문 등을 이용해서 잘 덮어 줍니다.

2. 쌀을 다 씻어 물에 담가 놓을 때, 물을 충분히 넣어줘야 합니다. 쌀 표면위로  5cm정도 올라오도록 해야 합니다.(쌀이 물을 흡수해서, 물을 적게 넣어주면 쌀 표면과 공기가 그대로 접촉하게 됩니다. 조심 조심)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852
242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5864
241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867
240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870
239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872
238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81
237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89
236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92
235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892
234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94
233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95
232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899
231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900
230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903
229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913
228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920
227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37
226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939
225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947
224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948
223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964
222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976
221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982
220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990
219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6000
218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017
217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23
216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023
215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6024
214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027
213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038
212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6039
211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41
210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70
209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071
208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74
207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74
206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077
205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78
204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8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