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조회 수 7197 추천 수 52 2006.03.30 00:56:03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우리가 빚는 술의 대부분은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입니다.

밑술이란 덧술을 빚기위해 빚는 술을 말하고, 덧술은 밑술에 한 번 더 덧한다. 하여 덧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즉, "밑술", "덧술"은 이양주 이상의 술빚기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당연히 단양주는 "밑술", "덧술"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삼양주는 "밑술"에 "덧술"을 하고 한번 더 "덧술"하는 술' 또는, 밑술,덧술,2차덧술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단양주"는 초보자들이 빚는 술, 또는 빚기 쉬운 술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번에 빚는 술이라 얕잡아 보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단양주"는 술을 많이 빚어 본 사람도 실패를 밥 먹듯이 할 정도로 어려운 술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술을 처음 빚는 분들에게는 "단양주" 보다는 "이양주"를 빚도록 권장하고 싶습니다. "이양주"가 양조 공정이 한번 더 있어 복잡해 보여도 술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키는데는 "단양주"보다 오히려 쉬울 것입니다.

단양주는 처음부터 많은 양의 곡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패했을 경우 경제적으로 부담이 됩니다. 그러나 이양주의 경우 밑술에는 적은 양의 곡물이 들어가기때문에 실패하더라도 큰 부담이 없습니다.


1. 단양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부의주"(동동주)가 대표적인 단양주입니다. 대부분의 "단양주"는 술을 빨리 발효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제조법 중에 하나가 물에 누룩을 넣어 놓았다가 사용하는 "수곡"을 이용하는 술빚기 입니다.

물에 누룩을 담가 놓는 이유는 누룩 속에 있는 미생물, 특히 효소의 활동을 증가시켜 술 빚는 초기에 "당화"가 빨리 이루어 지도록 하는 역활을 하게 됩니다. "당화"가 빨리 이루어지면 "효모"에 의한 알코올 발효가 빨라지게 되어 안정된 술빚기를 할 수 있습니다.

단양주의 특징중 또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단양주는 여름에 빚는다"는 것입니다.

온도가 높게 되면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잡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름철 온도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바로 산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도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2. 이양주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는 가장 안정된 제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밑술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도와 덧술에서 많은 양의 곡물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큰 실패 없이 술을 빚을 수 있습니다.

앞에서 설명 했듯이 "단양주" 보다 "이양주"의 술빚기에서 술이 잘 되는 이유가 바로 "밑술"에 있습니다. 밑술이란 덧술을 빚기 전의 술, 또는 효모의 증식을 위한 술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밑술에는 몇가지 공통점이 있는데요.

첫째, 곡물의 가루를 이용한다.
둘째, 가루를 익히거나 쪄서 사용한다.
셋째, 물이 적게 들어간다.  

이 세가지가 하는 일은 모두 누룩 속의 발효균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좋은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실패&성공 게시판 - 모든것은 발효력이다. 참고>

이렇게 밑술이 되었으면, 덧술에서는 밑술보다 많은 양의 곡물이 투입됩니다. 밑술에 많은 양의 효모가 증식되어 있기 때문에 덧술을 많이 투입해도 이를 분해 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이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술의 종류와 날씨,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덧술에 누룩, 물, 가향재, 약재 등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요즘같은 봄이 오면 "복숭아꽃", "진달래꽃", "매화꽃" 등을 덧술을 빚어 넣을 때 함께 혼합하여 넣으면 됩니다.

삼양주, 사양주, 오양주 이상으로 술을 덧 빚으면 술의 실패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알코올 도수와 단맛 그리고 술의 향이 좋아지게 되기 때문에 더 고급주에 속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는 술의 양이 많아져 관리가 힘듭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aladinn

2015.02.25 03:59:12
*.166.75.3

밑술에서 곡물의 가루를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방앗간에 갈 여건이 안되는경우에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혹시 물과 섞어서 믹서기에 갈아서 쓸 수 도 있는건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 anakii
  • 2013-11-14
  • 조회 수 8421

초일주 술 거르기 질문드립니다. file [1]

  • 잉맨
  • 2011-05-15
  • 조회 수 8691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 酒人
  • 2006-04-19
  • 조회 수 9132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 酒人
  • 2007-02-07
  • 조회 수 9148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 신의
  • 2008-08-19
  • 조회 수 9467

석탄주 만들기 [2]

오염균 사진 file [2]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 酒人
  • 2006-03-12
  • 조회 수 10611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삼양주이상 중양주 빚는 방법은? [3]

부피 단위 (되/말)에 대한 문의 [3]

  • 해난
  • 2012-01-05
  • 조회 수 10893

저온발효/저온숙성 [2]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 샛별
  • 2009-11-10
  • 조회 수 10946

<b>누룩만들기 제 7장 -'효모'이야기</b> [11] [1]

  • 酒人
  • 2007-11-12
  • 조회 수 11043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 酒人
  • 2006-05-02
  • 조회 수 11344

오양주 만드는방법 [4]

누룩법제 [3]

  • 상갑
  • 2009-01-06
  • 조회 수 11506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 酒人
  • 2008-10-21
  • 조회 수 11774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 酒人
  • 2007-02-09
  • 조회 수 12048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덧술시 고두밥과 압력솥밥의 차이 [2]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 누룩
  • 2009-01-02
  • 조회 수 12949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2]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 누룩
  • 2009-01-02
  • 조회 수 14610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 酒人
  • 2008-07-12
  • 조회 수 16072

누룩 만드는 법 file [1]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 酒人
  • 2007-12-26
  • 조회 수 16619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 酒人
  • 2009-01-07
  • 조회 수 17498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 酒人
  • 2006-09-27
  • 조회 수 17605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 酒人
  • 2006-01-21
  • 조회 수 1822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 酒人
  • 2007-03-07
  • 조회 수 18749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 酒人
  • 2008-10-13
  • 조회 수 20294

고두밥 보존 방법이 있나요? [2]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3] [1]

<b>누룩만들기 제 1장 - 누룩의 기본</b> [2]

  • 酒人
  • 2007-10-21
  • 조회 수 257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