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조회 수 6122 추천 수 48 2006.02.28 08:54:32

사진을 보면 술이 끓어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면서 남긴 자국이 보입니다. 이것이 생기는 이유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봅시다.

술덧(밥+누룩+물 등을 섞은 것)을 술독 속에 넣으면 효소에 의해 당화가 진행됩니다. 당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효모가 발생한 당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열 그리고 에탄올을 만들어 냅니다.

술이 끓어 오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산화탄소와 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면서 술덧의 부피를 크게합니다. 술독의 밑과 옆은 막혀있기 때문에 술덧은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사진속 맨 위에 남긴 자국이 이때 생기는 것입니다.

더 시간이 지나 당 생성이 줄어들고 효모의 활동이 둔화되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량도 줄어둡니다. 따라서 술덧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는 처음 술덧을 넣은 위치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밥알 속에 있는 전분이 빠져나가 밥알 자체의 부피도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즉,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최고조에 달할 때, 술덧의 부피가 최대한 커지게 되고 그 양이 줄어들면 부피는 원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밥알 하나하나의 부피가 줄어들어 처음 술덧의 양보다 줄어들게 됩니다.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면서 열도 함께 증가하는데, 이것은 이산화탄소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증식된 미생물의 운동에너지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작은  방 안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으면 한 사람 한 사람이 내뿜는 자체 열에 의해서 방 안은 더워지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술독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 증식된 미생물이 많아질수록 운동에너지가 커지게 되어 열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때 술독 전체가 따뜻해지게 되는데, 술덧을 식혀주지 않으면 미생물이 죽을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 안에 수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으면 그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열에의해 사람들의 활동이 둔화되고 시간이 더 지나면 죽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닫힌 공간 안에 있는 문을 열고 환기를 시켜줘야 내부에  있는 열이 밖으로 나가게 되어 사람이 살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와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높아지면 효모의 활동이 둔화되고 사멸하게 되어 더이상 알코올을 만들어 낼 수가 없게 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온도를 맞춰 주는 것입니다.

술이 말을 할 수는 없지만 사진에서 보듯 흔적을 남겨 놓습니다. 이 흔적을 추적하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전통주는 "술독"  www.suldoc.com


할렘

2020.06.05 01:31:01
*.71.161.59

안녕 하세요. 그럼 끓어 오른 흔적이 있으면 이미 늦은 것 인가요? 제가 만든 밑술에 올려두신 사진과 똑같은 자국이 있어서요. 현재 32시간이 되었고요. 36시간에 덧술 하라 하셨는데....사정상 늦어서 42시간은 되어야 덧술이 가능 할것 같아요. 우선 늦춰보려고 좀전에 작은방으로 a/c 틀어 놓아서 온도를 19도로 낮춰는 놓았습니다만...안될까요? 지금 35시간 지났고...찹쌀은 1시간전 부터 불리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41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529
840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6518
839 증류기를 샀습니다. 증류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2] 걷는바람 2013-10-21 6508
838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499
837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88
836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463
835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461
834 주인님 사진의 이양주 거름시기 좀 가르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23 6456
833 멥쌀로 고두밥을 쪄서 삼양주를 담근는데...고두밥이 [2] 창힐 2013-08-07 6440
832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6412
831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6395
830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6363
829 단양주 층 분리 [2]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5 6351
828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342
827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336
826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335
825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2] 酒人 2007-07-05 6325
824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6324
823 계절별 빚는 주조법 질문 [1] 키키요 2021-04-06 6313
822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file [4] 더블엑스 2008-04-13 6306
821 술찌게미는 꼭 걸러야 하나요? [2] anakii 2013-10-16 6299
820 소주만들기 할 때 언제까지 소주 받아야 하나? file [3] 아침에술한잔 2007-03-26 6298
819 드뎌 누룩 제조하다... [6] 전통주 love 2009-03-23 6290
818 옻 삶은 물로 막걸리 빚을수 있으까요? [2] 지량 2013-12-05 6285
817 누룩에 관하여~~ [14] 한나다나 2007-10-19 6278
816 신맛이 살짝 드는 술. 잘된 술인가? [2] 내사랑 2008-12-07 6271
815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6270
814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ㅠ_ㅠ file [2] 리볼트 2021-01-11 6259
813 청주를 빚고 있는데요. 그냥 한번 봐주고 평가해주세요. [4] 기록하는자 2015-12-20 6257
812 술 늦게 걸르면?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7-02 6255
811 밑술 덧술 발효 온도 궁금합니다 [1] 오렌지컴 2014-12-06 6248
810 저온 발효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11-07 6246
809 단양주가 신맛이 날 때 살리는 방법에 대한 고찰 ㅠㅠ도와주세요 [1] 요리조리 2020-05-27 6201
808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2] 酒人 2007-11-10 6198
807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14 6190
806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169
805 현미 막걸리 봐 주세요 ㅠ ㅠ file [1] 瑞香 2015-07-01 6138
804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6125
»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122
802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1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