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조회 수 6264 추천 수 48 2006.02.28 08:54:32

사진을 보면 술이 끓어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면서 남긴 자국이 보입니다. 이것이 생기는 이유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봅시다.

술덧(밥+누룩+물 등을 섞은 것)을 술독 속에 넣으면 효소에 의해 당화가 진행됩니다. 당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효모가 발생한 당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열 그리고 에탄올을 만들어 냅니다.

술이 끓어 오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산화탄소와 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면서 술덧의 부피를 크게합니다. 술독의 밑과 옆은 막혀있기 때문에 술덧은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사진속 맨 위에 남긴 자국이 이때 생기는 것입니다.

더 시간이 지나 당 생성이 줄어들고 효모의 활동이 둔화되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량도 줄어둡니다. 따라서 술덧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는 처음 술덧을 넣은 위치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밥알 속에 있는 전분이 빠져나가 밥알 자체의 부피도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즉,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최고조에 달할 때, 술덧의 부피가 최대한 커지게 되고 그 양이 줄어들면 부피는 원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밥알 하나하나의 부피가 줄어들어 처음 술덧의 양보다 줄어들게 됩니다.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면서 열도 함께 증가하는데, 이것은 이산화탄소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증식된 미생물의 운동에너지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작은  방 안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으면 한 사람 한 사람이 내뿜는 자체 열에 의해서 방 안은 더워지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술독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 증식된 미생물이 많아질수록 운동에너지가 커지게 되어 열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때 술독 전체가 따뜻해지게 되는데, 술덧을 식혀주지 않으면 미생물이 죽을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 안에 수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으면 그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열에의해 사람들의 활동이 둔화되고 시간이 더 지나면 죽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닫힌 공간 안에 있는 문을 열고 환기를 시켜줘야 내부에  있는 열이 밖으로 나가게 되어 사람이 살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와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높아지면 효모의 활동이 둔화되고 사멸하게 되어 더이상 알코올을 만들어 낼 수가 없게 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온도를 맞춰 주는 것입니다.

술이 말을 할 수는 없지만 사진에서 보듯 흔적을 남겨 놓습니다. 이 흔적을 추적하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전통주는 "술독"  www.suldoc.com


할렘

2020.06.05 01:31:01
*.71.161.59

안녕 하세요. 그럼 끓어 오른 흔적이 있으면 이미 늦은 것 인가요? 제가 만든 밑술에 올려두신 사진과 똑같은 자국이 있어서요. 현재 32시간이 되었고요. 36시간에 덧술 하라 하셨는데....사정상 늦어서 42시간은 되어야 덧술이 가능 할것 같아요. 우선 늦춰보려고 좀전에 작은방으로 a/c 틀어 놓아서 온도를 19도로 낮춰는 놓았습니다만...안될까요? 지금 35시간 지났고...찹쌀은 1시간전 부터 불리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43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574
842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574
841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580
840 송순주 [1] yk 2014-08-02 3590
839 누룩이 잘 못 된 것 같아요.. [2] 행유 2010-07-15 3592
838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594
837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95
836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97
835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98
834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604
833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606
832 술빚는 항아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 요롱이엄마 2012-11-12 3607
831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3614
830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617
829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619
828 초보가 질문드려요 ㅎ [2] 바커스 2012-05-10 3620
827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621
826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625
825 멥쌀주의 맛 행유 2010-09-23 3629
824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629
823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630
822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644
821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3] 까마귀날개 2009-05-15 3645
820 언제 걸러야 할까요? ㅠ.ㅠ file [1] 랄랄 2012-05-04 3645
819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646
818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646
817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649
816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649
815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651
814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654
813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654
812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659
811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662
810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669
809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670
808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670
807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672
806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677
805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690
804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6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