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조회 수 4997 추천 수 56 2006.01.13 20:22:34
집에서 술을 빚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질문은 "힘들게 왜 산에 올라가요?"라는 질문과 별반 다를 게 없습니다. 산을 오르는 것은 힘들지만 다 올랐을 때의 성취감이나 자신감 그리고 그 어떤 느낌이 있는 것 처럼 술을 빚는 다는 것도 이와 다를게 없는 것입니다.

그럼 좀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여러분이 시중에서 사 먹는 술은 "그냥 술"입니다. 여러분도 편하게 먹기 위해 그런 술을 사는 것이고, 여러분이 먹는 그 술 또한 "팔기위해 만든 술"이 되는 것이죠. 그럼,  술 만드는 업체가 팔기위한 술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까요??

집에서 빚는 것처럼 좋은 재료 정성 시간이 투자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팔기위해 만든 술 대부분은 술의 양을 늘리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집에서 만드는 것처럼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죠. (물론 술 만드는 업체도 좋은 술을 빚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빚는 것만큼 따라올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술을 만들다보니 술에 여러가지 인공감미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술의 색을 위해서 또는 술의 향을 위해서 또는 술의 맛을 내기 위해서...

그럼 이렇게 넣은 인공감미료는 어디로 갈까요?  물론 다 몸 속으로 들어가겠죠.
다음날 머리가 아프겠죠....^^ 몸이 이러한 물질을 소화하기 위해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겠어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그러나 집에서 빚어 마시는 술에는 이러한 인공 감미료를 넣으라고 해도 넣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술의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이죠. 물론 몸에 큰 부담이 되지도 않습니다. 좋은 술을 마시면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도 몸이 개운하죠? 몸에서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술이라도 사람이 먹고 나서 부담을 준다면 그 술은 진정한 "팔기위한 술"입니다. ^^ 그 술을 마시는 사람은 돈 잃고 몸은 몸대로 스트레스 받고..ㅎㅎ

이런 글을 쓰는 저도 가끔 머리아픈 술을 먹습니다.^^ 그러나 좋은 술이 집에 있으면 이런 일은 별로 없죠. 왜냐하면 그 술이 생각나니까요. 한달간 정성스럽게 빚어 놓은 술. 생각만해도 정말 "아까워서 먹기 힘듭니다."

이런 재미를 여러분과 함께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2 막걸리 숙성에 관한 질문 [3] alpha 2012-01-20 64577
961 <b>술의 신맛 고치는 법</b> [1] 酒人 2007-09-27 29307
960 <b>누룩만들기 제 1장 - 누룩의 기본</b> [2] 酒人 2007-10-21 25819
959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3] [1] johnfrankl0 2012-08-10 25685
958 고두밥 보존 방법이 있나요? [2] 민속주 2012-07-01 25017
957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酒人 2008-10-13 20366
956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827
955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303
954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酒人 2006-09-27 17671
953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酒人 2009-01-07 17597
952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酒人 2007-12-26 16706
951 누룩 만드는 법 file [1] 강마에 2009-04-13 16475
950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6127
949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누룩 2009-01-02 14677
948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4378
947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2] 김달공 2012-02-28 13546
946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누룩 2009-01-02 13022
945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우리술이좋아 2010-03-16 12802
944 덧술시 고두밥과 압력솥밥의 차이 [2] 우리술이좋아 2012-03-20 12338
943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모르는 2010-04-19 12185
942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121
941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酒人 2008-10-21 11858
940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달갸리 2009-12-02 11687
939 누룩법제 [3] 상갑 2009-01-06 11580
938 오양주 만드는방법 [4] 비오리 2012-05-22 11500
937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426
936 <b>누룩만들기 제 7장 -'효모'이야기</b> [11] [1] 酒人 2007-11-12 11111
935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샛별 2009-11-10 11013
934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1003
933 부피 단위 (되/말)에 대한 문의 [3] 해난 2012-01-05 10966
932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10943
931 삼양주이상 중양주 빚는 방법은? [3] 무설탕 2011-10-25 10924
930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690
929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575
928 오염균 사진 file [2] 강마에 2009-05-04 9963
927 석탄주 만들기 [2] 전통주 love 2009-03-26 9687
926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534
925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9309
92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213
923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2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