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조회 수 3471 추천 수 0 2014.10.29 05:07:03

안녕하세요. 아프리카 대륙에서 봉사활동중인 학생입니다ㅎ


꽤 장기간 거주할 계획이라 전통주를 만들어 볼까 생각중인데 아프리카이다 보니 한국과 같은 여건에서 담그는 건 무리겠더라구요.


우선 면보와 찜통이 없어 고두밥을 지을 수 없구요. 고도가 높아서(해발 2500m이상) 밥도 잘 안됩니다. 장독대는 물론이고


한국에서 쓰는 플라스틱 용기도 찾기 힘들구요. 또 자포니카 쌀이 없습니다.


일단 출국할 때 누룩 3Kg를 챙겨왔고 힘들게 힘들게 한국쌀(멥쌀) 2Kg 정도를 구했는데 재료가 한정되어 있다보니 실패를 통해서 


배우기엔 너무 위험부담이 커서 몇 가지를 여쭤보고자 합니다.


1. 찜통이 없는데 전기밥솥으로 밥을 지어서 밥을 해서 담가도 될까요?


2. 술을 앉히는 용기는 반드시 밀폐시켜야 하나요?


3. 제가 거주하는 곳은 5(새벽)~20(낮)℃ 정도로 서늘합니다. 그리고 친구가 거주하는 곳은 15~35℃ 정도인데 두 곳 다 습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햇빛이 들지않는 실내에는 일교차가 덜심하구요. 술을 앉혀서 어디서 발효시키는게 나을까요?


4. 인디카종의 쌀로도 가능할까요?


5. 한국 멥쌀과 누룩만으로 만들 수 있는 전통주가 있을까요?


酒人

2014.11.03 00:42:42
*.228.35.18

안녕하세요^^

1. 전기밥솥을 이용하셔도 되는데요. 밥을 최대한 물을 적게 잡아 하세요. 좀 된 상태로 나올 수 있도록
2. 뚜껑만 잘 닫아 놓아도 됩니다. 물론, 천 등으로 벌레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겠죠.
3. 쌀 양이 적으니 한 번에 술을 빚는게 좋겠고요. 그러면 친구가 거주하는 곳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좋겠어요.
4. 단, 쌀이 2kg이니 물을 1.5리터 사용합니다.
5. 물 1.5리터에 누룩 600그램을 넣어 7시간 담가 놓고 수곡을 만들어요.
6. 그 수곡에 식힌 밥을 넣고 5일 후에 그냥 걸러서 냉장고가 있으면 넣어두고 3일 후에 드세요.

한 번 시도해 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13
680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12
679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096
678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094
677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093
676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092
675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087
674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086
673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080
672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078
671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078
670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5073
669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johnfrankl0 2012-05-31 5061
668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052
667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창힐 2012-08-23 5051
666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047
665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043
664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어화둥둥 2007-06-02 5038
66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034
662 누룩만들기 [1] 반애주가 2013-04-29 5023
661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상갑 2008-12-23 5022
660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020
659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酒人 2006-06-01 5016
658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015
657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013
656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비니 2010-12-06 5009
655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008
654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005
653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05
652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酒人 2006-11-14 5003
651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002
650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002
649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001
648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5000
647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4996
646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4988
645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4982
644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청주sam 2007-09-22 4975
643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4966
642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49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