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쌀 누룩 질문

조회 수 4342 추천 수 0 2020.10.19 22:45:47

안녕하세요,

해외 체류 중이라 과정 참여가 어려워

류 소장님의 전통주 교과서를 구해다가 읽고 있는 중인데

읽다 보니 궁금한 게 하나 있어 질문 드립니다.


청주의 기준으로 제시한 소장님의 견해를 적어 놓으신 부분에서

누룩은 쌀로 빚은 누룩을 사용하여야 청주라 할 수 있다는 부분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청주를 빚을 때 주로 밀 누룩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여 조금 헷갈리네요.


전통주 교과서 및 기타 다른 책들에 나온 삼해주와 같은 청주들에 원래 쌀 누룩을 썼던 것인지요?


또한 쌀 누룩을 써야 한다면 이화주 전용 쌀 누룩인 이화곡처럼 동그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쌀 누룩을 만들 수 있나요?


mekookbrewer

2020.10.20 01:45:00
*.19.90.90

주세법상으로 청주라고 불리려면 쌀누룩을 써야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일제강점기때 만들어진 법이 아직도 안고쳐진걸로요. 그냥 정통주 교과서에 나오는 청주는 술 지개미가 밑으로 가라안고 위에뜬 맑은부분을 청주라고 부르는걸로 알고있고 전통적으로 그렇게 부르는걸로 알고 있어요.
저도 미국에서 살면서 전통주 교과서 읽으면서 따라하는데 반갑습니다!

도원

2020.10.20 13:20:21
*.149.116.45

지금 주세법상 청주는 쌀을 주 원료로 사용해서 100% 쌀로 만든 술을 청주라고 정해놓았습니다.
그 100%에 누룩도 포함입니다. 그래서 무조건 쌀누룩을 이용해 만든 청주, 정종이라고도 하는 그 술만 청주라 칭할 수 있는게 현실입니다.
철저한 일본잔해의 한 종류인데, 국민학교도 초등학교로 바뀐지 20년이 넘어가는데, 주세법이 아직 일본의찌꺼기를 따르고 있는 참으로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전통주에 있어서 청주라함은 맑을 청! 술 주!를 써서 위에 뜨는 맑은 술!! 모두를 청주라 칭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래게 가라앉은 탁주, 여기에 물을 섞어 막 걸러 놓으면 막걸리~
하루 빨리 올바른 술 이름이 정착 되고 개선 되야하는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죠!

택현

2020.10.20 15:40:50
*.159.99.1

상세한 설명해 주신 두 분께 감사 드립니다~

그런 어처구니가 없는 현실이 있었군요.

입국을 쓰는 사케와 다르게 한국 청주는 여러 다양한 누룩을 통해 다양하고 풍부한 맛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
진정한 청주를 청주라 못부르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어서 주세법 개정이 되어야 겠습니다.

mekookbrewer

2020.10.21 04:15:52
*.19.90.90

그리고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2726&categoryId=42739 여기에 보면 누룩 종류가 엄청나게 나옵니다. 쌀로만 만든건 이화곡 말고도 있는데 미곡, 백주곡 이란것도 있구요. 이것 쌀에다 약재즙을 넣어 만든거라 이걸쓰면 주세법상 청주라고 부를수도 있을것같기는 합니다

택현

2020.10.22 07:17:38
*.159.99.1

오 엄청난 자료 공유 감사합니다!
저는 주로 밀로만 누룩을 만드는 지 알았네요 ㅎㅎ

그래도 어찌되었든 주세법이 바뀌는 것이 가장 시급하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 酒人
  • 2007-03-15
  • 조회 수 3965

용수냄새가 나서 [1]

  • 고천
  • 2010-12-06
  • 조회 수 3965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진상주를보면서......... [2]

[re] 답변입니다. [2]

  • 酒人
  • 2009-03-14
  • 조회 수 3978

삼양주 담갔습니다. [2]

  • 미얄
  • 2014-09-30
  • 조회 수 3979

멋진 답변~~~

  • 떳다
  • 2008-10-16
  • 조회 수 3982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 酒人
  • 2006-08-21
  • 조회 수 3983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27
  • 조회 수 3985

범벅에 대하여 [2]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고맙습니다 [1]

  • yk
  • 2014-02-06
  • 조회 수 4002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4010

질문드립니다! [1]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 酒人
  • 2006-07-13
  • 조회 수 4017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 mumu
  • 2014-07-14
  • 조회 수 4021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걱정했는데... [1]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가입인사 드립니다. [1]

  • jun
  • 2015-01-31
  • 조회 수 4038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 酒人
  • 2007-03-17
  • 조회 수 4057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 술향
  • 2010-02-10
  • 조회 수 4058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문의좀 드립니다 [1]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