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조회 수 6205 추천 수 45 2008.04.13 23:02:09


안녕하십니까

현재 단양주를 10일째 익히고 있는 중입니다.

첨부된 그림처럼 층이 2개로 나눠진 상태이고 뚜껑을 열어서 안을 보면 중앙 부분에서 조금씩 기포가 올라 오고있습니다

온도는 25도에서 20도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고있습니다.

위에 뜬 부분만 맛을 봤습니다. 알콜때문에 독한데 맛은 싱겁습니다.
먹을때 아래층과 위에층을 썩어서 먹어야 되는데 윗부분만 먹어서 그런가요?
처음 담는 술이라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지금쯤이면 걸러야 하나요?
아직 기포가 한번씩 올라오니 좀더 기다닐까요?

酒人

2008.04.14 13:42:08
*.212.132.34

더블엑스님 안녕하세요.^^

투명한 용기에 담아 발효를 시켜도 좋지만 가능하면 빛이 투과되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빛 때문에 술의 색깔이 빨리 변하기 때문입니다.

술은 걸러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발효가 많이 되도 소량의 탄산이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 걸러서 냉장고 등에 넣어 놓고 맑아지면 사용하시지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4 17:31:57
*.248.234.27

주인님 항상 지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온도를 맞추기 위해 보쌈은 해놓아서 빛은 안들어갔습니다.(신문 또는 옷으로)^^*
근데 어느 정도가 되면 술을 걸러야 되는지요?
오늘 걸러서 냉장 보관하겠습니다..

혹시 냉장고에 보관시 얼마나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오래 두면 초가 되나요?

酒人

2008.04.14 23:18:52
*.46.8.42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 초가 되진 않아요.
그러나 알코올 도수가 14% 정도 이하가 되면
초가 되기 쉽습니다. ^^
따라서 정확한 알코올 도수를 알아야 할 것 같고요.

냉장고에 보관하면 술 속의 단백질이나 다른 침천물이
응축되어 맑은 술을 더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침전물이 가라 앉는 것을 관찰하시고요. 술 마다 차이가
나겠지만 넉넉 잡고 1주일 정도 넣어 두신 후에 위에 맑게
고인 술을 취하면 될 듯 합니다.

거르는 시기는 각 게시판에 올려 놓은 자료들이 있습니다.
검색하시면서 공부도 하시면 좋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5 00:27:11
*.44.22.34

酒人님 답변 항상 감사합니다..
방금 술 걸러서 PT병에 담아서 김치냉장고에 넣었습니다..ㅋㅋ
이제 맑은 술이 나오길 기다리면 되겠네요..ㅋㅋ

그리고 2차술 할려고 지꺼기와 같은 비율로 물 끓여 식혀서 다시 발효 들어갔습니다..^^*
1차술 가라 앉은 지꺼기 부분과 2차술을 섞어서 막걸리 해먹으면 되죠??

손에서 막걸리 냄새가 진동합니다..ㅋㅋ 그래도 첨한건데 맛있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900
880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894
879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6871
878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21
877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722
876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6715
875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6707
874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706
873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692
872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648
871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641
870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635
869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596
868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579
867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556
866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555
865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536
864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529
863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27
862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20
861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80
860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469
859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467
858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29
857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425
856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424
855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21
854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418
853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414
852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90
851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389
850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377
849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362
848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355
847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335
846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296
845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2] 酒人 2007-07-05 6259
844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254
843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252
842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62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