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어떤술이 나올까요??

조회 수 5121 추천 수 43 2008.05.07 23:29:47

맵쌀을 이용한 이양주를 만들고 있습니다.

밑술을 1.5일 정도 차이로 2개를 만들었지만 덧술을 같은날에 해서 덧술 시기가 틀립니다. (제가 덧술시기를 잘 몰라 한번에 같이 해버렸습니다.)
밑술은 25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여 만들었으며 덧술하고 난뒤는 21도 정도되는 곳에서 보관중입니다.

먼저 만든 밑술은 밑술이 완전 끓은 상태에서 누룩을 포함하지 않고 덧술을 했습니다.(누룩 이라고는 밑술을 만들때 썼던 누룩이 다입니다..ㅜㅜ)
뒤에 만든 밑술은 밑술이 끓고 있는 상태에서 덧술을 했는데 이때 누룩을 전체 들어가는 맵쌀의양의 15~20% 정도를 섞어서 덧술했습니다.

오늘이 덧술한지 2일이째 인데 뻑뻑해 보이는 술을 소독한 주걱으로 한번씩 저어줬습니다.
(이렇게 저어서 산소를 만나게 해주면 효모증식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요..)
1. 덧술하고 나서도 효모증식을 돕게 저어주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그냥 가만히 두는게 나은가요? (일딴 저는 2개 술 다 한번씩 저어줬습니다.)

2. 어떤게 덧술 시기를 정확하게 한건지 좀 가르쳐 주십시오? 밑술이 끓을때 하나요 아니면 밑술이 끓고 나서 하나요?

3. 그리고 앞에 만든술과 뒤에 만든술이 누룩차이가 좀 나는데 혹시 누룩이 적은게 효소가 적어서 당화가 늦어지면 산폐 될려나요?

4. 덧술하고 난뒤에 온도가 좀더 낮은 21도 정도되는 곳에 보관중인데 이렇게 하면 누룩이 적은게 문제를 일으킬수 있나요?

이 두술이 과연 어떤 술이 나올지 궁금하네요..ㅡㅡㆀ

酒人

2008.05.08 08:56:26
*.212.132.34

잘 지내시죠.?^^

1. 덧술하고 난 후에는 최소 5일간은 가만히 두시는게 좋습니다. 2일째는 효모가 알코올을 생산하고 있을 텐데 여기서 공기가 투입되면 알코올 생성을 멈추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성된 알코올의 도수가 낮아 공기와의 접촉으로 초산발효가 진행되어 술에 신맛이 강해 지게 됩니다. 따라서 알코올이 안정된 발효를 도울 수 있는 13%이상이 되기를 기다렸다가(약 7일 정도) 혼합해주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

7일 후에 혼합을 안해도 상관 없지만 술덧 위에 있는 쌀의 발효를 돕기 위해서 7일 후에 혼합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이때는 혼합을 해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2. 덧술 시기는 밑술이 끓어 올랐다가 좀 잠잠해 진 시기로 소리를 들어 기포의 양이 적어지거나, 술 표면이 물처럼 되어 누룩 등이 떠 올랐을 때 덧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하는 말이지만 48시간 후에 그냥 덧술 하시면 괜찮습니다.

3. 누룩이 적게 들어갔다 하더라도 밑술을 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술독에서 빚는 대부분의 술들은 쌀 대비 누룩의 비율이 8%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4. 덧술 후에 온도 변화를 주기 위해 이리 저리 옮기는 것 보다는 처음 빚은 장소에 가만히 두는 것이 좋습니다. 미생물도 생명체인데 환경을 자주 바꿔 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꼭 낮은 온도로 옮기겠다면 덧술 후 5-7일 정도 후에 옮기는 것이 좋습니다.

5. 누룩이 많고 적음 보다는 밑술을 얼마나 잘 만들었냐가 성패의 갈림길이라 생각됩니다. 즉, 미생물을 얼마나 많이 증식시켰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5.08 12:32:53
*.248.234.27

언제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냥 두는게 좋겠네요..ㅋㅋ 괜히 조바심에 건드렸네요.ㅜㅜ

이번 술이 어떤맛이 날지~~ ^^*
좋은 술 나오기만 기대기대~~합니다

봇뜰

2008.05.13 18:05:06
*.159.253.41

주인님! 좋은말씀 늘 큰 도움이 되네요...
더블님! 저도 술을 빚어 봤지만 조바심은 절데 가지지 마세요...편안하게 인내심~~~^^
좋은술 많이 빚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3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623
682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613
681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609
680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608
679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602
678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602
677 안녕하세요 백국균 밀입국을 만들어 주모를 띄우는데 물표면에 두껍게 층이생깁니다. [3] 고수가되고싶다 2023-12-31 5601
676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601
675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600
674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598
673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587
672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582
67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573
670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562
669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560
668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556
667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556
666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551
665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551
664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548
663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543
662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542
661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537
660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537
659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535
658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526
657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525
656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522
65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513
654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506
653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497
652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88
651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486
650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86
649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480
648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470
647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469
646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460
645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460
644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전산할배 2020-10-25 54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