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조회 수 13031 추천 수 0 2012.02.28 10:38:10

안녕하세요.

막걸리반 1기 김영은 입니다.

짧은 시간이지만, 직접 술을 빚어 보니 글로만 보는 것보다 훨 이해가 쉽고, 아 이런식으로 하면 되겠구나....감이 오는것 같아서 아주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2월14일 이양주 멥쌀로 밑술하고, 48시간이 지난 후 16일 짭쌀로 덧술을 했습니다. 술저장 품온은 21도~25도 쯤 됬습니다.

 

저희 집에서 저장온도가 좀 낮은듯하여 술 거르는 시기를 조금 늦췄습니다.

 

덧술 한 지 11째 되는 27일에 이양주를 걸렀습니다.

 

쌀의 상태는 으깻을 때 남는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충분히 삭은 듯 했습니다.

 

술맛은 단맛도 나지만, 쓴맛이 납니다.  알콜 도수는 제법 나오는 것 같습니다.

 

내가 만든 첫번째 술이라 신기하기도 하고, 배우면서 시음했던 여러가지 술맛에 익숙해서 너무 기대치가 컷던 것인지 약간은 실망을 했습니다.

 

아쉬움이 있다면 쓴맛이 나는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삼등단지에 2말 담은 술도 쓴맛이 날까봐 걱정입니다.

 

추가)28일 미세분이 가라앉은 술을 조카에게 시음시켜보니, 일전에 자희향에서 주문해서 맛본 막걸리보다 맛있다고 하네요.ㅎㅎㅎ   하루 가라앉히고 맛본 맑은 막걸리는 전날보다 맛이  한결 좋습니다.

 

적당히 단맛과 제법 알콜 도수가 감도는 것이 애주가에게는 오히려 좋을 듯 싶습니다. 하지만, 뒤긑에 남는 약간의 쓴맛은 풀어야 할 숙제인 듯 합니다.

 


酒人

2012.02.29 00:05:49
*.74.136.95

쓴맛이 나는 것은 좋은 현상입니다.
냉장고에서 1주 정도 숙성을 거치게 되면 쓴맛이 많이 없어질거에요.
그리고 쓴 맛은 누룩이 많이 들어가거나
발효가 잘 진행되어 나는 부분이니 술을 걸렀을 때
쓴 맛이 나는 것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걸렀을 때부터 쓴맛이 나지 않게 하려면
처음 술 제조시 물의 양을 좀 더 줄여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달공

2012.02.29 11:48:43
*.121.76.138

29일 냉장고에서 꺼내서 음복하니...쓴맛이 사라졌습니다. 내가 만든 술이 이렇게 맛있을수가...2주간 가르침을 주신 유경원선생님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1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3841
640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3492
639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27 3781
638 삼양주 담는중입니다. [1] 소라 2014-07-25 3029
637 전통주 [1] yk 2014-07-25 3410
636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4332
635 막걸리공장의 입국 [1] yk 2014-07-22 4605
634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3277
633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105
632 술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7-10 2983
631 한번 더 덧술 시기에 대해 질문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7-01 4240
630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4291
629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584
628 술로 술 빚기? [1] 케이원 2014-05-27 2991
627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119
626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017
625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3757
624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108
623 국화주 만들어보는중... file [1] 창힐 2014-04-14 3494
622 안녕하세요. [1] sul4u 2014-04-04 2751
621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53
620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161
619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155
618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3497
617 삑삑한 술 고치기 [1] yk 2014-03-28 3506
616 주인님 추가질문입니다ㅜ,ㅜ [1] 강하주 2014-03-22 3053
615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136
614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089
613 고맙습니다 [1] yk 2014-03-20 2907
612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3683
611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027
610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3416
609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191
608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3765
607 알콜 도수 [4] 깡오리 2014-02-26 5815
606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650
605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3689
604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접속 하였습니다 청주의 보관법에 대해서 여쭤볼려구요 [1] 건강=행복의 밑거름 2014-02-16 3914
603 술덧저어주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4-02-15 4688
602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36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