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24일이 지났습니다.

조회 수 5713 추천 수 2 2011.03.26 12:31:53
여기는 미국 텍사스입니다.
여기서 막걸리를 담가먹을려고 몇번 시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저의 레시피입니다.

1. 3월 1일:  멥쌀 3kg, 누룩 450gram, 물 2.5 L, 국순당 수입생말걸리 500mL,
2. 3월 2일: 항아리의 고두밥이 너무 말라보여 물 1L 추가.
3. 3월 3일: 잘 끓음.
4. 3월 4일: 찹쌀 3 kg 고두밥 추가.

이때 기온이 낮엔 24도, 밤엔 5도 정도.
여기는 방바닥 난방이 안되서 이불 깔고 항아리를 싸둡니다.

5. 3월 25일 현재 약 일주일 간격으로 3번째 저어주는데 점점 삭아지긴 한데 아직도 한참 죽밥입니다.
현재 온도는 낮엔 27도, 밤엔 16도 정도.

질문 올립니다.

1. 아직도 죽밥인데 더 기달려야 하나요?.
2. 그동안 기온이 불안정해서 효모균들이 처음에 잠깐 활동하곤 잠들어 버렸을까요?.
3. 누룩이라도 더 추가할까요?.
4. 수입되고 있는 국순당 생막걸리 조금 더 추가할까요?

酒人

2011.03.26 22:55:28
*.142.205.90

전체적인 비율을 보면

쌀 6kg, 물 2.5+0.5(막걸리)+물 1리터(총 4리터)

쌀양이 물 양보다 너무 많습니다.

1. 그렇게 두시면 술이 너무 달아질 것입니다. 단맛이 좋다면 기다리면 될 것 같습니다.

2. 효모균들이 잠들어 버린 것이 아니라 당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해서 효모의 생육이 힘들어 졌기 때문입니다.

3. 누룩 추가는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4. 아니요^^

5. 현재 물을 2리터 정도 추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의 양이 너무 적어 죽밥처럼 되어 있는 것이고요. 술이 되도 단맛이 너무 강할 것 같습니다. 만약 맛있는 막걸리를 맛보시려면 물 1리터만 추가하고 다 삭으면 물 타서 드시고요. 청주도 원하신다면 2리터를 넣고 술이 완성되면 1리터 더 넣어서 저온에 두면 될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막걸남

2011.03.26 23:35:44
*.96.231.218

물을 제가 너무 적게 했군요.
물이 작아 효모애들이 많이 힘들어 했것구만요.
말씀대로 물 2리터 추가했습니다.

항상 자상하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3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396
76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390
761 술 온도와 맛의 변화 [2] 시작은 천천히 2012-03-30 6389
760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6372
759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362
758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1] alpha 2012-01-27 6361
757 콩이 들어가는 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집중호우 2007-12-07 6352
75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351
75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6349
754 이양주에서 삼양주 사진 file [2] johnfrankl0 2012-06-02 6346
753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6343
752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315
751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6314
750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311
749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307
748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292
747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290
746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6287
745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285
744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283
743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6276
742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6276
741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275
740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6271
739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260
738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이미남 2024-01-05 6255
737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246
736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6226
735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221
734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6220
733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6215
732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208
731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6205
730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6197
729 안녕하세요 백국균 밀입국을 만들어 주모를 띄우는데 물표면에 두껍게 층이생깁니다. [3] 고수가되고싶다 2023-12-31 6190
728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6183
727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176
726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6161
725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153
724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61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