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조회 수 4879 추천 수 0 2021.10.24 12:45:19

안녕하세요 이론으로만 공부하다가 이번에 직접 양조주를 담궈 보려고 하다가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양조주보다 증류주가 숙취가 덜한 이유는 양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 에탄올  메탄올 퓨질등에서  메탄올과 퓨질을  초류에서 증발시켜 버리고 


거의 순수한  에탄올과 수분만 남기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거른 막걸리를  수비드 기계같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수 있는 기계에 넣고  온도를  65도 정도로 맞춰두고 놔둔후  식히고 병입한다면 


메탄올과 퓨질을 날리고 효소역시 사멸했을 테니 발효를 멈춘 술을 만들수 있는 걸까요? 


제가 만들고 싶은 술은 도수 4도 정도의 달달한 맛이 나는 과실양조주 입니다.  다음과 같이 만든다면 괜찮을 까요? 



1. 과일에 당을 첨가한후 물과 효모를 넣고 1차 발효를 한다. 



2.  도수가 4도 정도 되었을 때   술을 거른다. 


3. 거른 술을 65도 정도로 가열시킨후  식힌후  병입한다.


4.  65도로 가열하였기 때문에 퓨질과 메탄올은 증발하였고  효소 역시 사멸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발효로 탄산를 배출시키지 않는다.


5. 이후 청징재를 넣거나  찬곳에 놔두어 찌거기를 침전시킨후 거른후 병입한다.


6.  이때 병입한 술은 상하지 않을 까요?


酒人

2021.11.04 17:01:10
*.234.113.35

안녕하세요.


메탄올의 비점이 64도는 맞지만 64도로 한다고 메탄올이 날라가지 않습니다.

메탄올의 비점이 64도라는 것은 순수한 메탄올의 비점을 말하는 것이기때문에 그것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휘발됩니다.

에탄올의 비점이 78도라면 78도가 되었을때 에탄올이 나와야하는데 실제 술에는 에탄올과 물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이기때문에

더 높은 열을 가해야 에탄올이 나오게 됩니다.

또한, 막걸리를 증류하면 메탄올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과실주는 메탄올 성분이 곡주보다는 많이 나오죠.

특히, 썩을 부분이나 씨앗등이 들어가면 메탄올 성분은 더욱 많아지게 됩니다.

과실주 4도 였을때 발효를 멈추면 잔당이 남아 원하시는 술을 만들수는 있으나

발균을 하고 다시 여과해 술을 거르는 과정에서 균에 의해 오염이 될 수 있기때문에 완전 살균은 되지 않습니다.

만든 술을 먼저 저온에 넣어 침출 시켜 맑은 술만 병에 담아 놓고

병을 통째로 65도씨 물에 넣어 30분간 둔 다음 꺼내서 냉장고에 보관하세요.

그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1 막걸리 숙성에 관한 질문 [3] alpha 2012-01-20 64177
960 <b>술의 신맛 고치는 법</b> [1] 酒人 2007-09-27 28989
959 <b>누룩만들기 제 1장 - 누룩의 기본</b> [2] 酒人 2007-10-21 25534
958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3] [1] johnfrankl0 2012-08-10 25322
957 고두밥 보존 방법이 있나요? [2] 민속주 2012-07-01 24666
956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酒人 2008-10-13 20040
955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500
954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7979
953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酒人 2006-09-27 17357
952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酒人 2009-01-07 17255
951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酒人 2007-12-26 16388
950 누룩 만드는 법 file [1] 강마에 2009-04-13 16165
949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5831
948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누룩 2009-01-02 14380
947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4083
946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2] 김달공 2012-02-28 13177
945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누룩 2009-01-02 12730
944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우리술이좋아 2010-03-16 12467
943 덧술시 고두밥과 압력솥밥의 차이 [2] 우리술이좋아 2012-03-20 12007
942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1849
941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모르는 2010-04-19 11845
940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酒人 2008-10-21 11519
939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달갸리 2009-12-02 11351
938 누룩법제 [3] 상갑 2009-01-06 11250
937 오양주 만드는방법 [4] 비오리 2012-05-22 11155
93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087
935 <b>누룩만들기 제 7장 -'효모'이야기</b> [11] [1] 酒人 2007-11-12 10792
934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0716
933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샛별 2009-11-10 10700
932 부피 단위 (되/말)에 대한 문의 [3] 해난 2012-01-05 10653
931 삼양주이상 중양주 빚는 방법은? [3] 무설탕 2011-10-25 10589
930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10369
929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364
928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276
927 오염균 사진 file [2] 강마에 2009-05-04 9622
926 석탄주 만들기 [2] 전통주 love 2009-03-26 9345
925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217
924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8993
923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8929
92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88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