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조회 수 7641 추천 수 0 2021.04.24 23:10:12

안녕하세요 제가 삼양주를 한달 전에 빚었었는데 향과 맛이 좋아서 다시 빚게 되었습니다.

4월 5일에 쌀가루 1kg과 물 2.5L로 익반죽을 하여 누룩 450그램을 넣고 40분간 혼화과정을 통해 항아리에 넣고

이틀뒤인 7일에 덧술로 밑술과 마찬가지로 1kg의 쌀가루와 물 2.5L를 넣고 한 익반죽에 밑술을 걸러넣었고

하루뒤 8일 목요일에 찹쌀 3kg을 불려 고두밥을 지은 뒤 살수처리를 하고 식히고 넣었습니다.

밑술과 1차덧술땐 하루에 두번씩 저어주었고 고두밥을 넣고나서도 이틀까지는 하루에 한번 저어주었습니다.

온도는 항상 일정하진 않아도 낮엔 24.5도를 넘지않고 밤엔 19도 위로 유지되었습니다.

대부분은 20~22도로 낮게 유지되었습니다

그래서 기간을 보름보다 뒤인 24일 토요일인 오늘 거르게 되었는데 신맛이 나게되어 질문을 드립니다.


신맛이 나는 이유를 제가 생각하기엔

1.항아리가 세척을하고 햇볕에 말리고 알콜로 소독하는 과정을 거쳤긴하지만 항아리가 그 전엔 장이 담겨있던 항아리라서 그런것이다.

2.덧술과정을 진행할때 날씨가 쌀쌀하여 효모가 충분히 증식하지 못했다.

3.지난번 삼양주땐 하지 않았던 고두밥 살수과정에 있어 수돗물을 사용하여 잔류염소에 의해 2차 덧술진행후 효모의 수가 줄었다.

4.누룩를 법제하려고 두었다가 다른일때문에 나흘정도 햇볕에 두었는데 이로인해 효모의 양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렇게 보고있습니다.

결국은 효모가 부족하여 술이 충분히 끓지 않았는데도 제 일정때문에 진행해버려 이런일이 발생한것같습니다.


술의 상태는 도수가 높지 않았고 거르기 전에 술독에선 끓는소리인 뽀글거리는 소리가 나고있었습니다.

맛은 식초만큼은 아니지만 신맛이 확 나고 단맛도 신맛때문에 묻혀 단맛이 덜났습니다.


이 술을 살려보려하는데


한 술을 밑술로 삼고 고두밥을 술양만큼 쪄 누룩과함께 다시 발효시키는것이라고 아는데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1. 지금 이 술을 밑술로 삼고 여기에 물을 덜넣고 중탕으로 온도를 높혀 익힌 익반죽을 넣고 효모가 끓게 하루나 이틀정도 둔 뒤 찹쌀로 고두밥을 해넣고 진행시켜도 되는걸까요?

2.이때 익반죽이 들어가면 물 양이 또 증가하게 되는데 물양이 증가함에따라 효모양이 부족할것같아 걱정되는데

이때 밀가루를 넣어주어 효모의 양을 늘려주어도 되는걸까요?

3.위 방법으로 오양주를 하기보다는 고두밥과 누룩을 새로이 넣어 사양주로 하는게 나을까요?


쓰다보니 길어졌는데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보글보글 끓길래 그냥 두고있으려했는데 일주일에 한번 품온온도를 측정하는데

이번에 측정하며 온도계(당시 22도였습니다)에 묻은 맛을 보니 신맛이 느껴져 급하게 거르게 되었습니다.

아니면 아직 덜 익어서 그런걸까요...


푸른땡땡이

2021.04.24 23:16:21
*.97.170.118

술을 거르고 8L정도 나왔는데 술 양이 많아 다시 살리기엔 아쉽지만 버려야하나 하는데

술을 걸렀던 손에서 향긋한 향이 베여 욕심을 내게하네요

푸른땡땡이

2021.04.25 01:11:38
*.97.170.118

페트에 담겨놓은 이후에 탄산방울이 생기는거보니 거른게 이른건 확실한것 같네요

신맛이 강하다 느끼는데 이후에 당분으로 인해 괜찮아질까요 아니면 밸런스가 맞아진다해도 신게 강할까요 우려되네요

푸른땡땡이

2021.04.26 03:03:12
*.97.170.118

음... 페트병에 담아둔 술을 상온에 두고 오늘 먹어보니 놀랍게도 데미소다 사과맛의 그 청량함과 맛이 느껴지네요.

덜 익은 상태였던건 확실한데 신맛이 놀랍게도 토요일은 시큼이었으면 오늘은 상큼정도로 바뀌었네요

Q&A인데 제가 혼자 글쓰고 상황보고하면서도 알아가는게 있는것같습니다

술기운

2021.07.06 22:03:22
*.208.56.119

"비밀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2 삼양주 고두밥 추가 스파클링누룩 2024-06-10 12
961 에탄올 만들기! secret [2] 아줌마 2010-10-20 162
960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1] 전통주연구 2010-01-14 484
959 와우. 점점 알수없는 술의 세계.ㅋ secret 아카스아 2008-07-02 554
958 [re] 답변입니다. ^^ secret 酒人 2008-07-02 578
957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김상현 2006-05-08 786
956 [re] 답변입니다. secret [2] 酒人 2006-05-08 1083
955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이미연 2006-12-29 2738
954 복분자주 질문합니다 ^^* [1] 소학(笑鶴) 2017-03-05 2765
953 답변주셔서감사~!!! 0심이 2010-10-03 2823
952 진상주 질문입니다. [1] 이유미 2006-08-23 2839
951 두견주 질문드립니다. [1] 소학(笑鶴) 2017-04-10 2914
950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2917
949 물관련질문입니다. 아트지 2010-10-17 2936
94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950
947 용수는언제박나요? 0심이 2010-09-11 2950
946 딸내미와 아들녀석이... file [2] 보리콩 2010-09-11 3018
945 질문드립니다. [1] 아나테스 2010-09-11 3033
944 <b>완성된 "쑥술" 병입완료</b> file 酒人 2006-05-16 3036
943 술을 잘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원삼규 2006-12-08 3038
942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050
941 저희집의 술을 복원하고 싶습니다 [1] 이도마 2010-09-09 3084
940 부탄가스로 4kg 고두밥을 할수있을까요? [1] 마리아 2017-04-19 3107
939 삼양주 관련 질문 드려요 [1] 렝오 2020-04-25 3118
938 <b>약주란 무엇인가.</b> 酒人 2006-07-28 3120
937 질문드릴게요~ [3] sswe13 2018-12-17 3128
936 안녕하세요, 쌀 관련 질문드립니다! [4] 예술 2020-02-27 3128
935 삼선주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8 3129
934 석탄주 제조 궁금합니다 ^.^ [2] 술지게미 2020-04-10 3147
933 안녕하세요. [1] sul4u 2014-04-04 3153
932 전통주 되살리기 백제주 2010-09-02 3156
931 처음 술을 만들어 봅니다. 막걸리만들자 2019-04-09 3157
930 술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너무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술이랑 관련) [1] 술수리 2010-04-04 3158
929 복분자주 궁금한게 더있습니다. [2] 소학(笑鶴) 2017-03-06 3162
928 처음 빚어본 술맛?? [2] 청천뫼 2016-04-27 3166
927 애주를 빚고싶습니다. [1] 소학(笑鶴) 2017-04-03 3170
926 과하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20-08-14 3187
925 쌀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1] 할매 2010-06-09 3190
924 술에 가향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2-15 3195
923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2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