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양주 빚어보는데

조회 수 7891 추천 수 0 2013.06.13 03:34:34

암 것도 모르는 생짜 초보입니다. 

누룩 만드는 거 이런 건 엄두도 못내고 송학곡자 사다가 고두밥에 버무려 단양주 한번 빚어보고

(만드는 방법은 그냥 인터넷 뒤져가지고서리;)

초심자의 행운인지 그럭저럭 잘 나와서 흐뭇한 마음에 한번 더 시도했는데

어제 저녁에 버무려서 항아리에 얹어두고 자고 일어나니 술 익는 냄새는 나는데 

다른 일로 바쁘다 새벽에야 뒤섞으려고 보니 표면에 흰곰팡이가 전체적으로 폈드라고요

깜짝 놀라서 인터넷 검색 무한 돌리다가 이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발효가 원활하지 않거나 잡균이 들어가면 그럴 수 있다는데, 뚜껑을 베보자기로 덮어서 구멍이 너무 헐한 게 탓이었나, 

마침 비가 와서 온도가 낮은 게 탈이었나 짐작만 해볼 뿐이고요.

좌우간에 담은 술을 버릴 순 없어 일단은 손을 대보자 하고 보니 흰곰팡이 아래 누룩 부분에 검은 것이 좀 보이는데 놀래서

(흰곰팡이는 괜찮지만 검은 곰팡이는 걍 썩은 거라고 알고 있어서)

일단 곰팡이 부분은 최대한 떠내고 나머지는 다시 잘 버무려서 뚜껑 덮어놨습니다만

이래 괜찮은 걸까요?

냄새는 기분 탓인지 지난번보다는 확실히 약간 독한 냄새가 나는 것 같습니다. 


酒人

2013.06.13 22:40:28
*.32.96.174

술을 처음 빚는다면 단양주보다는 이양주나 삼양주가 좋습니다.
단양주는 생각보다 어려운 술이에요. ^^

술 표면에 곰팡이가 보인다면..

1. 단양주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바로 표면에 곰팡이가 피는 것입니다.
2. 초반 당화 속도가 느리기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3. 당화가 잘 되지 않으니 효모의 증식과 알코올 발효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4. 이산화탄소 생성이 잘 이뤄지지 않아 술독에는 공기가 많이 있게 되겠죠.
5. 그렇게 되면 공기를 좋아하는 곰팡이가 술 표면에 자라게 됩니다.
6. 이산화탄소가 빠르게 생성되면 곰팡이는 피지 않았겠죠.
7. 곰팡이 있는 상태로 전체적으로 빨리 저어주고 온도를 높여 당화가 빨리 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8. 당화와 알코올 발효 속도를 높여 더이상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합니다.

단양주는 빨리 마시는 술이에요. 혼합해서 단맛과 탄산이 잘 조화되면 걸러 차게 한 상태에서
마시면 됩니다. ^^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3 초일주 술 거르기 질문드립니다. file [1] 잉맨 2011-05-15 8809
922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8737
921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8721
920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8541
919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8529
918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409
917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8181
916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8167
915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8154
914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희진 2023-03-10 8107
913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8093
912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8090
911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8057
910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8051
909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8008
90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8001
907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7997
906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991
905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964
904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961
903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907
»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891
901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873
900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837
899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7785
898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784
897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782
896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780
895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7724
894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719
893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7698
892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685
891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683
890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7629
889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7621
888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610
887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588
886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7540
885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489
884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4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