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엿술의 단맛은?

조회 수 5265 추천 수 25 2009.03.17 02:11:11
엿술에 단맛이 나지 않아요.
독하고 쓴맛이 주종을 이루내요.예전엔 한번 담금으로 달고 맛있는 엿술을 담갔다 하여 시연을 해 보았건만  누룩만으로 그런맛이 나지않는것이 술약 꼭 그것을 넣어야 하는지. 술을 걸럿을때 맛이 좋아야 숙성을 시키면 더 좋아지는것이 아닌가요? 저는 진정한 전통방식으로 술을 빗고 싶습니다.
1차 밑술:쌀 1.6kg, 누룩 1.5 kg, 밀가루 600g ,물3 L 범벅(36시간발효)
2차 밑술: 쌀 1.6KG ,물3 L혼합(36시간발효)
3차덧술 :쌀 2,+ 옥수수 6 =,엿물 25 L (바로 전단계 : 쌀 2KG+옥수수5KG=엿물 23L: 거를때 쓴맛이 강했음)
9일 발효 거르고 숙성 (?) 숙성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밀가루의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바로 맛과 색깔의 영향을 준다는것을 알았습니다. 1차와 2차와 3차중에 어떤과정에서 유용하게 필요한지 궁굼합니다.
많은 실패를 거듭하고서 얻어낸 위 과정이지만 할때마다 부족한것이 발견되니  많이 지쳐 갑니다. 현재 위 과정으로 술을 안혀 놓았습니다. 누룩의 조정도 수차례, 엿물의 조정도 수 차례 , 현재 조금 찜찜한것은 누룩의 양? 한1KG에서 다시 한번더 해보아야 하는데 이제는 겁이 납니다. 제가 이술을 왜 꼭 담가야 하는지는 차후에 말슴드리겠습니다. 농부는 제보고 고집불통이래요.

酒人

2009.03.17 17:19:36
*.66.168.3

밀가루는 술의 맛과 색깔 보다는
미생물의 증식과 더 관련이 깊습니다.
많이 넣는 것은 좋지 않고요.
가급적 밑술에 넣는데 누룩의 양 보다 적게
넣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보다는 여름에 잡균의 활동이 많을때
밀가루를 넣어 잡균을 억제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1차에 밀가루는 빼는 것이 좋을듯 하고요.
물이 적게 들어가니 덧술 시간을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36시간에서 48시간 후에 덧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고요.
2차도 마찬가지 입니다.

3차에서 엿물 25리터를 넣는데요. 엿물의 당도가
낮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곡물의 양을 늘려
엿물의 당도를 높이던가 아니면 물의 양을 줄여
당도를 높인 상태에서 술을 빚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술을 거르는 것은 술이 맛이 좋을 때 거르는 것이 가장
좋고요. 술 맛이 완전치 않을때 술을 거르면 술 맛이
잘 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효조 안에서 술 맛이
좋으면 그때 걸러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1차에 누룩을 500g 정도 줄이고 밀가루를 넣지 말고
물의 양을 3리터 정도 늘린 후에 술을 담고 25도에서
36시간 후에 덧술을 하면 좋겠습니다.
2차는 그대로 하고요.
3차는 위에 말씀드린 방법을 응용하시면 좋은 술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좋은 하루 보내세요.~~~^^

농부의 아내

2009.03.18 23:36:59
*.85.203.214

좋은말씀 감사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3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804
722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796
721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795
720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776
719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768
718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768
717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745
716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740
715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730
714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728
713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720
712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720
711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5716
710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712
709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711
708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706
707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청주조아 2023-11-29 5704
706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703
705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99
704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695
703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690
702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682
701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682
700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670
699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647
698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647
697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640
696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5638
695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632
694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627
693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605
692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605
691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604
690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603
689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589
688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81
687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580
686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575
685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574
684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