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조회 수 5995 추천 수 0 2015.03.03 01:12:31
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1.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3일째 되는날 1.2kg의 찹쌀로 고두밥을 쪄서 식힌후에 덧술을 하였습니다.

20분동안 저어주었고 두개의 병에 나눠담으면서 하나는 끓였다 식힌물을 조금더 첨가했습니다.

밑에 사진은 고두밥을 밑술과 섞어서 병에 담기 전의 사진입니다.


하루가 지났는데도 전혀 변화가 없어보이길레 온도가 너무 낮은가 걱정이 되어서 

온도를 23도로 올려주었습니다(원래는 18도 정도였음).

그러니 위에 물이 조금씩 고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게 술인가요?

끓어오르는건 전혀 없구요 아직 냄새는 못맡아봤습니다.

잘 되고있는건가요? 

병하나는 실온으로 내두고 차이를 관찰할까 생각중입니다.



酒人

2015.03.05 23:10:07
*.228.35.18

전체 쌀양(밑술 포함해서) 1.6kg 물양이 2.3리터 들어갔기때문에 이 술은 신맛이 많이 나게 될 것 같습니다.
쌀과 물의 양 대비해서 전통 누룩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통 쌀과 물의 비율을 1:1 정도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즉, 쌀양이 1이면 물양도 1이나 1 이하가 들어가야 좋습니다. 나머지 물은 술이 다 된 후에 넣어도 괜찮습니다.

1. 술 맛을 보고 알코올 도수가 낮고 신맛이 많이 나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2. 찹쌀 800g을 다시 찌고
3. 밑술을 걸러서 누룩찌꺼기를 제거합니다.
4. 찹쌀고두밥을 밑술과 혼합합니다.
5. 2주 정도 후에 술을 걸러 드시면 됩니다.
6. 지금 술 맛을 보세요. 자주 보시고 자주 맛 보면서 변화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7. 투명한 병에 담아 관찰하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aladinn

2015.03.06 03:39:20
*.166.75.3

답변 감사드립니다.
밑슬은 범벅을 만들수 없어서 "피와 살이되는 밑술법2"에 올려주신 양의 1/4로 했었습니다
근데 죽을 얼마나 끓여야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끓이면 끓일 수록 뻑뻑해져서 중불로 한시간 끓인후에 아직 밥알이 남아있는 상태로 밑술을 만들었습니다. 범벅이야 물의양이 일정하겠지만 죽은 얼마나 끓이냐에 따라서 남아있는 물이 달라진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잘못된생각인가요? 아마그것때문에 물이 너무 쫄았나 싶어서 작은병에는 물을 더 첨가하게된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930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re] <b>밑술의 맛은 ?</b>

  • 酒人
  • 2006-11-03
  • 조회 수 5929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 酒人
  • 2008-04-07
  • 조회 수 5927

삼지구엽주 ?

  • 녹야
  • 2008-08-08
  • 조회 수 5923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 고래
  • 2013-06-27
  • 조회 수 5897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씨앗술 만들기. [2]

  • 창힐
  • 2012-08-14
  • 조회 수 5879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 도사
  • 2008-10-22
  • 조회 수 5868

이양주 밑술 상태 [1]

  • Emiju
  • 2021-01-10
  • 조회 수 5867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 서련
  • 2018-09-29
  • 조회 수 5860

안녕하세요 백국균 밀입국을 만들어 주모를 띄우는데 물표면에 두껍게 층이생깁니다. [3]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 루악
  • 2015-07-22
  • 조회 수 5832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술 거르는 시기 [1]

  • aladinn
  • 2015-03-26
  • 조회 수 5797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 酒人
  • 2006-09-15
  • 조회 수 5790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5762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증류주 보관법... [1]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5744

발효시킬떄 뚜껑 [2]

향온주 빚을때... file [2]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이양주빚을때... [2]

단양주 신맛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