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전통주 여과방식에 질문있습니다!!

조회 수 4540 추천 수 0 2020.05.26 06:56:21

이번에 16리터정도를 거르면서..

40 50 사이즈의 삼베주머니와 광목주머니를 이용했는데

너무 작아서 여러번 나눠 짜야하고.. 한 4시간 걸린거같아요


광목주머니는 짜지지도않더라구요!? 해서 대부분 삼베로 짰는데 목넘김이 거친듯 하여..

이미 병입은 완료한상태라 광목천으로 다시거를수도 없고 ㅠ


질문은

1. 광목천으로 짜도 원래 탁주가 목넘김이 거친편인건지..? 삼베주머니로만 짜도 되는것인지?

2. 휴롬착즙기 같은걸로도 0.1m 필터라는데. 여과해도 되는것일지 질문드립니당

여과 후 광목천에 걸르면 훨씬 노동력이 줄거같아서요 !


도원

2020.05.27 20:21:20
*.149.116.45

초창기 저와 비슷한 딜레마에 빠지셨네요.
여과가 잘 안 된다면 이유는 딱 한가지 입니다. 분해되지 않은 전분!!
전분이 여과구멍을 막아서 잘 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분해되지 않은 전분 때문에 목 넘김이 거칠게 느껴지시는 겁니다.
이유는 2가지
1. 곡물이 제대로 익지 않아서 호화가 되지 않은 전분이 분해 되지 않고 그대로 남음.
2. 아직 당으로 변할 전분이 많이 남았음.
입니다.
2번의 경우는 발효를 더 시키면 해결 되는데, 충분한 기간 발효하셨다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1번의 경우인데, 1차 여과시 채반 같이 구멍이 전분 보다 굵고 지게미보다 작은 것으로 한번 걸러서 몇일 냉장 보관하셔서 바닥에 완전 가라 앉은 하얀 전분 위쪽만 떠 마시고 바닥의 전분은 과감히 버리시는 겁니다.

착즙기 사용은 절대 하시면 안되요. 전분이 필터 다 막아서 기계 무조건 망가집니다. 제가 경험자입니다.
착즙기는 아닌데.. 손으로 짜는게 힘들어 기계의 힘을 빌어 진공 필터로 거르다 거르지도 못하고 필터 구멍 다 막혀서 세척도 못 하고 해서 비싼 필터 하나 날려 먹었었죠.

술빚는요리사

2020.05.28 14:29:49
*.111.13.116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마지맛 덧술 후 30일은 지났으니 발효문제보단 익지않은 전분이 들어갔나보네요.. 가수해서 병입한 상태라 가라앉은것만 먹을수도 없는 노릇이고..속상하네요 ㅋㅋㅋㅋ
그렇다면 완전 호화된 전분만 사용한다면 광목천으로만 걸라도 충분히 잘 걸러진다는 것이군요.

아.
착즙기랑 원액기랑 다르다던데 원액기도 마찬가지로 안되겠죠?

도원

2020.05.28 19:54:12
*.149.116.45

기계는 무조건 쓰지마세요. 호화되지 않은 전분은 무조건적으로 기계 망가집니다.
구지 쓰셔야 겠다면 저는 원심분리기 정도는 써야 가능한 일처럼 보이네요.

가수하셨으면 그대로 1~2주 두시면 가라앉은 전분 분리가 더 용이할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처음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했을때, 호화시키는걸 몰라서 전분 때문에 버린 막걸리가..ㅜㅠ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시면 자연스레 해결되실거예요^^

술빚는요리사

2020.05.28 20:26:58
*.192.251.249

자칫하다 비싼 기계 골로갈뻔했네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말씀하신 부분은 1~2주 가만히 뒀다가 병입한 술의 90%정도 (가라앉은 전분을 제외한)를 다른 병에다 병입해서 마시는.. 뜻 맞을까요 !?

도원

2020.05.28 21:03:32
*.149.116.45

네^^ 뜻 맞습니다. 그렇게 하셔도 되고, 아니면 청감주로 재사용하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3 멥쌀 단양주 질문드립니다 file 스윗수 2024-06-16 24
962 삼양주 고두밥 추가 [1] 스파클링누룩 2024-06-10 89
961 에탄올 만들기! secret [2] 아줌마 2010-10-20 162
960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1] 전통주연구 2010-01-14 484
959 와우. 점점 알수없는 술의 세계.ㅋ secret 아카스아 2008-07-02 554
958 [re] 답변입니다. ^^ secret 酒人 2008-07-02 578
957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김상현 2006-05-08 786
956 [re] 답변입니다. secret [2] 酒人 2006-05-08 1083
955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이미연 2006-12-29 2806
954 진상주 질문입니다. [1] 이유미 2006-08-23 2940
953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3067
952 답변주셔서감사~!!! 0심이 2010-10-03 3088
951 <b>완성된 "쑥술" 병입완료</b> file 酒人 2006-05-16 3099
950 용수는언제박나요? 0심이 2010-09-11 3110
949 물관련질문입니다. 아트지 2010-10-17 3111
948 복분자주 질문합니다 ^^* [1] 소학(笑鶴) 2017-03-05 3126
947 술을 잘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원삼규 2006-12-08 3138
946 딸내미와 아들녀석이... file [2] 보리콩 2010-09-11 3166
94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174
944 <b>약주란 무엇인가.</b> 酒人 2006-07-28 3198
943 질문드립니다. [1] 아나테스 2010-09-11 3210
942 저희집의 술을 복원하고 싶습니다 [1] 이도마 2010-09-09 3238
941 술에 가향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2-15 3285
940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289
939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3294
938 두견주 질문드립니다. [1] 소학(笑鶴) 2017-04-10 3300
937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301
936 술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너무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술이랑 관련) [1] 술수리 2010-04-04 3303
935 쌀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1] 할매 2010-06-09 3348
934 전통주 되살리기 백제주 2010-09-02 3349
933 첫 술 만들기시도 [2] 천사 2010-02-20 3371
932 훗~^^ 궁금증 좀 풀어주세요~ 어화둥둥 2007-06-02 3415
931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425
930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435
929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439
928 부탄가스로 4kg 고두밥을 할수있을까요? [1] 마리아 2017-04-19 3444
927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452
926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452
925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456
924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46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