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조회 수 4557 추천 수 21 2010.03.27 17:50:01
미국산 칼로스 쌀로 빚은 약주와 국내산 쌀로 빚은 약주의 맛에 차이가 있나요?

물론 빚을 때 여타 조건(발효 및 숙성 조건 등)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입니다.

쌀의 이화학적 성질이 같다면 같은 맛의 약주가 되지 않을까 막연하게나마 생각하는데 실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쌀로 빚었다는 막걸리를 마시고 서울탁주를 이어서 마셔봤지만 잘 모르겠더라구요

정확한 데이터 없이 국내산 쌀로 빚은게  좋다는 식은 너무 막연하고 맹목적인 국수주의자 같잖아요?

탁주에 가미한 탄산이나 감미료의 차이, 걸쭉한 정도의 차이 등은 오감을 통해서 알 수 있을것 같은데(ㅎㅎㅎ)

언젠가 신문지상에, 무니만 우리쌀 막걸리이나 실상은 외국산 쌀막걸리라고 비아냥 거리는 기사를 읽었는데, 동일한 조건에서의, 즉 같은 회사의 막걸리를 수입쌀과 국내쌀로 만들었을경우의 비교가 궁금하더라구요.

그럼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酒人

2010.07.25 10:16:09
*.96.206.57

원료의 차이는 분명 술의 맛에 큰 차이를 주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막걸리들 대부분은 감미료에 의한 맛이기때문에 수입산이든 국산이든 맛의 차이를 알 수 없습니다.
얼마나 잘 조미를 하냐가 가장 중요한 것이지요.

따라서 이 문제는 술의 발효적인 부분이 아니라
기업가의 정신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세상의 모든 명주들은 자국의 농산물을 사용해 술을 빚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술은 원료가 가장 중요하고
그 원료를 믿고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우리나라는
좀 다르죠. 아픈 역사도 갖고 있고 그러다보니 지금의 수입산
원료의 술도 만들어지게 된 것이기에 무작정 수입산으로 술을
만드는 제조자를 비난할 순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점점점점 국산쌀을 이용하는 제조장이 늘어나고
소비자들도 그러한 술에 많은 점수를 주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 농부들이 직접 제배한 농산물로 빚은 술. 멋지잖아요.
좀 덜 남더라도 소비자가 신뢰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
제조장으로서는 먼 미래를 위해 더욱 중요하겠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3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888
442 누룩틀 [1] 우리술이좋아 2010-02-10 4884
441 동정춘 덧술 모습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6 4860
440 주정계 와인 2010-11-24 4857
439 술의 신맛잡기3 우리술이좋아 2010-11-09 4853
438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850
437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837
436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835
435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833
434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819
433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819
432 동정춘 밑술사진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2 4814
431 [re] 고구마술 복드림 2009-01-16 4810
430 덧술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1] 민속주 2012-07-06 4809
429 씨앗술입니다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05-20 4809
428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807
427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799
426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770
425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758
424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750
423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747
422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746
421 완성된 술에 단맛 가미하는 방법 있을까요? [1] 랄랄 2012-06-11 4742
420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736
419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728
418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727
417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1] 우리술이좋아 2010-05-14 4725
416 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습니다. [2] 비설 2008-12-15 4723
415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715
414 봉밀주도 빚어보았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713
413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712
412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1] 민속주 2012-07-14 4709
411 동방주 빚기에 대하여 [2] 강현윤 2008-01-14 4709
410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701
409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696
408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694
407 황금주 만들때...*^^* [1] 왈순아지매 2009-12-04 4693
406 두강주 만들때요~ [1] 초히 2009-05-11 4684
405 석탄주 덧술한 다음 현재 상태입니다. file [1] 원삼규 2006-11-26 4681
404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46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