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조회 수 4830 추천 수 77 2006.12.21 05:38:48
고두밥 잘 찌기..


고두밥(지에밥)을 찔 때, 흔히 생기는 현상이 밑이 질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것이 심한 경우는 고두밥 자체가 잘 쪄지지 않아 쌀이 설익는 일이 벌어집니다.

방지하기..

이런 경우는 명주천(베보자기)를 깔기 전에 나무젓가락이나 쇠 젓가락 등을 이용해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놓습니다.(요즘 텔레비전을 보니까 나무젓가락이 화학약품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네요..참고하세요) 그리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올리고 -> 쌀을 올려 찌면 고두밥이 진밥처럼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둘째는, 물과 베보자기를 놓는 위치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진밥처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이 끓어 오르면서 높게 튀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고두밥 밑이 계속해서 물과 접촉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물과 베보자기의 거리를 좀 더 멀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최소 5cm 이상은 되야 합니다.)

셋째는, 베보자기(명주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는 씻어 놓은 쌀 가루 등에 의해 구멍을 막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증기가 밖으로 나오기가 힘들어 쌀의 밑 바닥만 계속해서 적시게 되어 질어 집니다. 따라서 가능한 쌀 알갱이가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것을 피해야 합니다.

넷째, 나일론이나 천연 소재가 아닌 제품은 피해야 합니다. 베보자기가 비싼 것은 천연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나쁜 물질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두밥을 찔 때 사용하기는 아주 좋습니다. 그러나 나일론 등은 화학첨가물이 많이 들어가 있어 좋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두밥이 전체적으로 잘 익었지만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발효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두밥이 설익은 상태로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술에 산막효모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미생물이 발효를 일으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는 발효 기간이 문제가 아니라 발효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좋은 술 빚으세요.~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 酒人
  • 2006-10-23
  • 조회 수 5168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 서련
  • 2018-09-29
  • 조회 수 5167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 창힐
  • 2013-09-09
  • 조회 수 5152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 酒人
  • 2007-03-05
  • 조회 수 5142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5135

덧술하기에 관하여.... [4]

  • 공주
  • 2008-02-13
  • 조회 수 5132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 곡향
  • 2015-08-20
  • 조회 수 5117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 酒人
  • 2006-07-19
  • 조회 수 5114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엿술의 단맛은? [2]

[re] 술 담그는 방법 [1]

  • 酒人
  • 2008-10-27
  • 조회 수 5105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 창힐
  • 2012-08-23
  • 조회 수 5088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오양주 효모 [4]

이양주빚을때... [2]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068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 瑞香
  • 2017-03-19
  • 조회 수 5066

증류주 보관법... [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단양주 신맛 [1]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누룩만들기 [1]

직접 빚는 누룩 질문드립니다 file [3]

  • Kimeric
  • 2023-03-06
  • 조회 수 5043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 酒人
  • 2006-06-01
  • 조회 수 5043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5042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042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 비니
  • 2010-12-06
  • 조회 수 5041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038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 상갑
  • 2008-12-23
  • 조회 수 5035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 석탄
  • 2009-03-07
  • 조회 수 5022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5022

발효시킬떄 뚜껑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