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질문 드립니다.

조회 수 2530 추천 수 0 2017.09.07 18:29:59

첫시도를 단양주로 하였다가 제대로 식초를 만들어버리고 (지금 생각해보면 밥을 너무 설익혀서 그런것 같네요^ ^;)


덧술의 과정이 추가될수록 술이 잘된다 하여 이양주를 도전하는중입니다. 


부피로 측정하였습니다.


밑술: 멥쌀 250ml으로 죽을 쑤고 + 누룩(금정산성) 200ml + 밀가루 한스푼을 넣고 스테인레스에 넣어 비닐에 구멍 네다섯개쯤? 뚫어 덮어주었습니다.


주인장님의 글에서 죽으로 밑술을 하는경우 36시간째에 덧술을 추천하시어 기다리는 중입니다만

. 어떤 글에서는 술이 끓기 시작하면 그순간부터 36시간이라고 하는글도 있어서 어느것이 맞는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제가 술이 끓는다는 표현이 어떤 상황인지를 잘 몰라서 현재 밑술에서 부지런히 보글거리는 소리가 계속 들리긴 합니다만...^ ^;



1. 밑술이 죽일때 덧술하는 정확한 시기

2. 술이 끓는다는 표현이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3. 덧술을 한뒤 뚜껑을 닫아놓아야 할까요? 지금까지는 비닐로 막아놨었습니다만...


질문드립니다.


덧술은 

멥쌀 300ml + 찹쌀 450ml로 밥을 지어서 추가해줄 예정인데 물을 더 추가할지 말지는 고민중입니다. 목표로 하는 컨셉은 달면서 진한 맛이나고  알콜은 그리 높지않은 술로 잡고 있습니다.


내용추가) 이제 36시간이 되어서 덧술 추가할려고 밑술의 맛을보니 톡쏘는 신맛이 나네요 ㅠ 약간 아릿한 맛도 섞여있고요 ㅠ 

주인장님의 어떤글에서 밑술은 시고 쓴맛이 나는게 발효가 잘된거라 좋다 라는게 기억나서 혹시나해서 덧술을 하긴했는데 ...

죽으로 해서 그런가 생각보다 밑술의 물이 양이 많은데 그래서 더 시어졌는가도 의심되고요ㅠ

단양주때도 시어져서 낙심하고 식초나 되어라 하고 박아뒀는데 이양주도 그럴까봐 걱정이 되는군요



누룩

2017.09.25 15:24:23
*.234.113.35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1. 지금 하시고 계신 술같은 경우, 밑술이 죽이라고 표현하셨지만, 정확히 들어간 물의 양을 알 수가 없습니다. 전체 술의 쌀과 물의 비율을 같은양으로 맞춰주세요.
덧술을 하는 시기는 밑술의 비율이나 온도, 관리상태에따라 변하기때문에,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쌀과 물의 비율이 1:5정도일때, 덧술의 시기가 36시간 전후에 온다고 생각하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2. 술이 끓는다는 표현은 밑술을 만들 때 더 잘 알 수있습니다.
밑술의 비율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마치 물을 약한 불에 끓이는 것 같이 기포가 올라오는 현상을 보고 술이 끓는다고 표현합니다. 농도에 따라 어떤경우에는 빗소리처럼, 어떤 경우에는 탄산음료와 같은 소리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3. 네, 뚜껑을 닫아두어야 합니다.
촘촘하고 깨끗한 천이나 종이호일등으로 막아주시면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가득 한 혐기적인 환경이 만들어지게되고, 그러한 환경에서 효모가 알코올을 원활하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치 밀폐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벌레가 들어가지는 못하고, 안쪽의 이산화탄소는 빠져나올 수 있도록 조치해주시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막걸리가 셔요 ㅜ [1]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699

술 쉰내 [2]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 酒人
  • 2006-09-15
  • 조회 수 5651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 aladinn
  • 2015-02-26
  • 조회 수 5634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5614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누룩 보관기간 [1]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씨앗술 만들기. [2]

  • 창힐
  • 2012-08-14
  • 조회 수 5583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 Kimeric
  • 2023-06-29
  • 조회 수 5545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1되의 정의~ [3]

발효와 온도 [2]

  • 포수
  • 2013-06-24
  • 조회 수 5517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 희진
  • 2023-03-21
  • 조회 수 5468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 두메
  • 2007-02-15
  • 조회 수 5463

향온주 빚을때... file [2]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458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효모에 대해... [2]

  • sul4u
  • 2013-06-28
  • 조회 수 5430

제맘대로 단양주? [2]

쑥술만들기 [1]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비설
  • 2008-12-05
  • 조회 수 5415

주정계 사용법???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5412

술거르는 시기? file [2]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 酒人
  • 2006-03-08
  • 조회 수 5390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