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조회 수 4886 추천 수 43 2006.11.06 07:46:10
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

오늘은 술독의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한 글을 올리까 합니다.

우리가 술을 버무려서 술독(발효조)에 넣게 되면, 술독 내부에서는 서서히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열은 미생물의 증식과 함께 미생물의 활동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공간보다 따뜻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의 전통적 제조법에서 이와 관련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에서도 기름종이를 이용해서 술독의 입구를 막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덮어 단단하게 봉하라”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단단히 봉하라’란 의미로 남아 있는데, 이는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단단히 봉하다는 의미는 술독 입구를 막는다는 의미와 함께 술독 전체를 옷이나 이불 등으로 싸라는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밖으로 빠져 나간다면 쌀알이 삭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술독 입구를 단단히 봉해두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밥알이 빠르게 삭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술독 전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지 않아도 술독 입구를 잘 막는 것 만으로도 술의 발효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물론, 술독 자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어 주는 것 또한 술을 빚는 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술독 주변의 온도와 술독 내부의 온도가 서로 열평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지나친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술을 기록된 제조법에 따라 만들고 현재의 기온 변화에 맞게 술독을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온도가 낮을 때는 술독 내부의 열이 쉽게 달아나지 않도록 술독입구를 단단히 봉하거나 두꺼운 이불이나 옷 등으로 술독을 덮어주고, 날씨가 더울 때는 얇은 천 등을 이용해서 발생하는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나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의 경우는 술독 입구를 잘 막아 발생하는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술독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요. 제가 글을 이렇게 써도 응용은 여러분께서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가 아닌 이런 방법, 저런 방법도 있으니 계절의 온도변화에 맞게 술빚기에 조금씩 변화를 주라는 것입니다.



우리술..."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이양주빚을때... [2]

발효시킬떄 뚜껑 [2]

주정계 사용법???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5509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 곡향
  • 2015-08-20
  • 조회 수 5500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5491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 酒人
  • 2006-03-08
  • 조회 수 5491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오양주 효모 [4]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비설
  • 2008-12-05
  • 조회 수 5479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 酒人
  • 2007-10-24
  • 조회 수 5473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 막이
  • 2021-08-26
  • 조회 수 5459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 酒人
  • 2007-10-23
  • 조회 수 5457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 瑞香
  • 2017-03-19
  • 조회 수 5446

24일이 지났습니다. [2]

증식기때 알콜생성? [1]

  • sul4u
  • 2013-07-07
  • 조회 수 5445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438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저온 발효 질문 [1]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re] 김태원님 보세요.~ [5]

  • 酒人
  • 2006-04-25
  • 조회 수 5393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발효후 온도? [1]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 synop
  • 2015-05-17
  • 조회 수 5370

[re] 답변입니다. ^^ [5]

  • 酒人
  • 2006-05-11
  • 조회 수 5365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