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조회 수 5315 추천 수 0 2012.04.22 23:09:31

 

酒人님~~

안녕하세요~!

여쭐게 있답니다.^^

 

술독의 자료를 토대로 몇가지의 술을 담아보고 있답니다.

 

밑술은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었는데요.

=>하나는 멥쌀가루를 송편만들때처럼 반죽해서 구멍떡&강원도 감자떡모양으로 빚어서 

끓는 물에 삶아내서 만들었구요.

=>또 한가지는 범벅으로 만들었답니다.

 

근데 술끓는 소리와 거품의 차이가 크네요?

 

현재는 덧술을 한지 일주일이 되어 소리가 사그러들었는데요...

=>범벅밑술로 담은 건...힘이 느껴지기도 하며 오케스트라를 연상케하는 소리가 들리고

=>떡밑술은 파도에 생겨난 포말이 삭아지며 내는 소리랄까?

싸~~하는 균일한 소리가 나요...저음으로..말이죠.

그러면서도 왕성한 활동력이 느껴져요.

 

음..이제부터 질문이랍니다.

같은 멥쌀가루로 만든건데요(차이라면  범벅밑술은 넘치긴 했어요)

근데 끓는 소리가  이렇게 다른 이유가 뭘까요?

그것이 너무 궁굼하구요.

어떤술이 나올지도 궁굼하구요...^^

당도랄까..입안에 감도는 느낌이 이 소리와도 연관이 있는 것일까...하는

궁굼증도 있구요...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ps..

사진을 활성화 할려면 태그만 되나봐요?

어리버리..ㅋ파일로 올렸습니다..

 

 

 범벅밑술-덧술7일경과.jpg 삶은떡밑술-덧술7일경과.jpg

 

 

 


酒人

2012.04.23 03:29:33
*.74.136.95

술 빚는 것을 즐기시네요.^^

잘 보셨어요. 술을 빚어야 소리를 알죠
계속 관찰하다보면 이제는 밑술을 어떤 방법으로 가공했냐를 소리만 들어도
알 수 있을거에요.

술 끓는 소리는 호화도에 따라 다릅니다.

가장 가는 소리를 내는 것은 죽
그 다음이 구멍떡
그 다음이 범벅
그 다음이 고두밥입니다.

입자가 곱고 잘 익을수록(호화도) 곱고 가는 소리가 납니다.
반대로 입자가 굵을수록 거칠고 톡톡 튀는 소리가 납니다.

그런데 소리가 곧 술 맛을 결정하진 않아요. 어떤 방법으로 밑술을 만들던
덧술의 가공방법과 양에 따라 술의 맛과 향에 큰 차이를 가져오기때문입니다.
즐거운 술빚기하세요.~~^^

* 사진을 활성화 하려면 첨부하시고 오른쪽에 본문삽입을 하면 사진이 올라갑니다.
제가 대신 해 드렸어요. ㅎㅎ

바람의딸

2012.04.27 08:13:06
*.185.3.71

아,,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술빚는 묘미가 이 소리에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방앗간이 없는 오지에서 동동주 빚는 방법을 찾으려합니다.
맛있는 단술로 많은 량을 내면서 운치있게 밥알이 동동 떠 있는 그런술입니다.
많은 분들의 로망인가요?^^ㅎㅎ

그런술을 빚으려고 하는데 추천해주고 싶은 방법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초보자가 경험으로 터득하기는 어려움이 많네요.^^;

오늘도 酒人님 발걸음마다 행운이 피어나시길 바라면서 즐겁운 하루 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28
760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615
759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5612
758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12
757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01
756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592
755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582
754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5552
753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51
752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50
751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546
750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35
749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16
748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04
747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481
746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62
745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444
7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42
743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30
74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28
741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27
740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22
739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415
738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404
737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399
736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395
735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393
734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90
733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387
732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383
731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375
73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69
729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63
728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53
727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351
726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47
725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46
724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44
723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41
722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