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조회 수 5096 추천 수 0 2018.09.18 15:09:39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은 선생님의 말씀대로 4가지의 규칙을 지켜서 밑술을 만들고 (밑술의 상태가 좋다고 가정)하고

일정한 술의 도수가 되었다고 가정 (예를 들면 원하는대로 16도의 술이 만들어졌다)하면

빨리 거르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왜 빨리 거르라고 하시는지는 이해가 됩니다)


질문 1 : 우리 술은 일정온도에서 발효가 되서 술이 완성되면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숙성하면 술맛이 좋다 하였는데..

효모의 활동 온도인 25~30도 인 25도를 벗어나 20도 정도면 효소도 활동 범위(35도~60)를 벗어나 당화나 알콜이 만들어지지

않아야 정상아닌가요? 왜 맛이 좋아진다는 건지요... 그리고 숙성의 시간이 오래되면 알코올이 날라가 술의 도수가 떨어지는게 정상아닌가요?


질문 2 : 알코올이 일정부분 원하는대로 완성이 되면 온도를 급격이 올려(35도 이상 -2시간) 효모를 사멸 시키고 나서 온도를 35도 이상으로

유지시킨다면 (물론 알코올이 날라가지 않게)  효소는 계속 활동하게 되고 그러면 효소가 분해할 전분이 다 사라질 때까지

당화가 계속되어 단맛의 술이 만들어져야 하는게 이론상 맞는 말 같은데요... 이게 가능한가요?


죄송합니다. 제가 아직 몇번 빚어보지 않은 초보라서요...

이론을 좀 더 공부하고 싶어서 올려봅니다...




전통주장인

2018.10.19 16:16:36
*.192.182.16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이라..
단맛은 쌀의 당화과정을 거친후 효모에 의해 알콜발효를 진행합니다..
당이 알콜로 혐기성발효를 한다면 당이 소모되어 당연히 단맛이 줄어 듭니다..
그래서 좀 빨리 거르면 당이 많이 남아서 단맛의 술이라는 했을거 같습니다

1. 저는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숙성은 이렇게 합니다.. 술이 발효가 완료되면 술을 거른후
주박을 걸러내고 냉장고에 2차 숙성을 합니다.. 이때 찹쌀 고두밥을 넣어주면 좀
단맛이 가미된다고 합니다. 냉장고 보관도 장기적으로 하려면 맑은 술만 따로
걸러서 보관하면 풍미도 좋아집니다...장기간 보관한다고 알콜이 날라가지는 않습니다

2. 간단히 설명하면 효소와 효모는 온도도 중요하지만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알콜이 발효되려면
호기성에서 혐기성으로 변화되어야 알콜 생성이 되는 거지요...
이론적으로 효소는 2시간 단위 증식해서 20회 증식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덧술시기를 40시간 잡는거고요.. 그 시간이 지나면 증식을 안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증식된 효모에 대량의 고두밥을 넣어서 알콜을 발효시켜러
덧술을 하는 거지요.. 그래서 이 이후에는 술덧도 저어주지 않습니다..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서 이지요. 효모는 알콜을 생성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알콜로 인해 오염도 방지를 합니다...
증식만 하고 알콜을 만들지 못한다면 감패나 감산패로 진행이 됩니다..

주방문에 나오는 원리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왜 죽이나 백설기. 구멍떡 고두밥을 사용하는지.. 왜 밑술에는 맵쌀을 사용하는지
여름에는 단양주. 봄가을에는 이양주. 겨울에는 삼양주를 빗는지 말입니다....

저도 배우는 입장에서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 비니
  • 2010-12-06
  • 조회 수 5085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저온 발효 질문 [1]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069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 酒人
  • 2006-06-01
  • 조회 수 5065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065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 상갑
  • 2008-12-23
  • 조회 수 506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 aladinn
  • 2015-03-06
  • 조회 수 5057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 석탄
  • 2009-03-07
  • 조회 수 5055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5049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5043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얼그레이(홍차) 탁주를 빚어보고 싶습니다. [2]

증식기때 알콜생성? [1]

  • sul4u
  • 2013-07-07
  • 조회 수 5024

산막일까요? file [3] [1]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 synop
  • 2015-05-17
  • 조회 수 5010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이화곡 활용 방법 [1]

어떤술이 나올까요?? [3]

<b>전통주 상급강의 1. 효모의 세대시간과 증식</b> [1]

  • 酒人
  • 2006-07-22
  • 조회 수 4997

저온 발효 외부, 품온 온도 문의 [1]

제가 정리한 레시피입니다. [1]

술빗는 용기는 뭐가 좋을까요? [2]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4969

오미자주를 담고 있습니다. file [2]

  • 하제
  • 2012-04-29
  • 조회 수 4960

외국인들에게 막걸리와 사케 차이 설명 [3]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 도사
  • 2008-10-18
  • 조회 수 4947

<b>[re] 답변입니다. </b>

  • 酒人
  • 2007-01-07
  • 조회 수 4945

예쁘게 끓는술 2탄 file [1] [3]

류가향 밑술 온도에 질문이 있습니다! [2]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곡물과 물의 비율 [1]

맑은술이 뜨지 않습니다..... [1] [8]

  • 우기
  • 2012-12-16
  • 조회 수 4927

[re] 하수오주? [2]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4909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 김군
  • 2009-12-20
  • 조회 수 4908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 酒人
  • 2006-01-13
  • 조회 수 49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