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조회 수 4916 추천 수 18 2009.12.20 18:49:35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한 글을 읽어는 보았으나 ㅠ_ㅠ

12월 19일날 덧술을 하고 현재 26~27도의 장소에 발효를

시키고 있습니다. 지금 담근 이 술을 12월 31일에 맛을 볼 수 있을까요?

충분한 숙성이 된 제대로 된 전통주를 마시고 싶으나

저희 회사 기숙사 망년회 때에 선보이고 싶은 맘이 가득하여...

맑은 술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지만

올해의 마지막날까지 그렇게 되지 않으면 어떡하죠?

그렇다면 술을 속성으로 숙성시키는 방법이 있나요?

속성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글은 조금 읽어 보았으나...

첨가물 없이 완성된 술을 맛보여 주고 싶은 마음에...

남자들만이 사는 기숙사에 있는 자재는 아무것도 없고...

근무하는 곳이 병원인지라 침대 시트를 잘라 몇번을 빨고

삶아서 보자기를 만들고 냄비도 조그만해서 몇번에 걸쳐 쌀을 찌고

기숙사원들의 함께 먹는 쌀로 담근 술이라 실패하기는

너무나 가슴이 아플것 같습니다. 이미 요구르트 같이 시큼한 막걸리를

만들어 선보였으나 그것마저 맛있다고 해주는 직장 동료들에게

선보이고 싶은 술! 숙성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술을 망치지 않고 말입니다.

아무튼 12월 19일 덧술을 하였고 12월 31일날 자정에 마시고 싶습니다.ㅠ_ㅠ

酒人

2009.12.23 23:35:30
*.66.171.53

답변이 늦었네요.

시간적으로 짧기 때문에 맑은 술은 좀 힘들 것 같아요. 가급적이면 막걸리로 드시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큰 유리병 등에 27일쯤 걸러서 냉장고에 보관 후 31일에 사용하시면 탄산이 있는 막걸리를 드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엿길금이나 효모를 사용하면 발효가 빨리 진행되겠으나 맛은 많이 떨어질 것입니다.

그럼 ~ 행운을 빌어요.~~~^^

김군

2009.12.24 01:37:14
*.157.112.16

답변 감사합니다.
즐거운 성탄 맞이하세요~
왠지 애기를 키우는 듯한 기분입니다.
술이 되어 가는 모습이 막 자라는 듯한
아기를 보는 것 같아서 하루에도 몇번씩
술독을 열어보게 되네요.
총각에 애인도 없지만 그래도 뿌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안녕하세요. 제 술 상태 문의 드립니다.(감사합니다) file [1] 안녕핫세요 2023-09-15 5259
680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247
679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243
678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228
677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227
676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222
675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221
674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218
673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212
672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글렌모렌지 2007-05-20 5207
671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203
670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201
669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200
668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198
667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195
666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191
665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김진영 2007-12-27 5188
664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186
663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181
662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177
661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73
660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170
659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166
658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johnfrankl0 2012-05-31 5163
657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63
656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161
655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61
654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158
653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156
652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창힐 2012-08-23 5145
651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144
650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143
649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138
648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129
647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112
646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109
645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104
644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100
643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100
642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0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