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조회 수 5155 추천 수 53 2006.07.19 11:03:00

여과를 하면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여과를 하는 방식은 아주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 가정에서는 용기에 술을 넣어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맑아진 술을 사용하거나 용수를 박아 맑아지면 사용합니다.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다 “중력”^^ 을 이용한 여과 방법인데요. 무거운 것은 아래로 가라 앉고 위에는 대부분 가벼운 것만 남아 있게 됩니다. 여기서 위에 맑은 것을 마시면 탁주로 마셨을 때 보다 맛이 “싱겁다” 라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10 가지의 맛이 있다고 했을 때 탁주는 1~10가지의 모든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지만 위에 뜬 맑은 술은 10가지 맛 중에서 3가지 정도의 가벼운 맛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싱겁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럼 1~10가지의 맛을 다 느끼면서 맑은 술을 얻을 수는 없을까.

탁주로 마시기 전에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10가지의 맛 중에서 좀 더 많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능한데요. 또 이렇게 하려면 돈이 들겠죠. 장비가 필요하니까요. 보통 양조장에서 사용하는 여과기를 사용하면 일반가정에서 맑은 후에 사용하는 것 보다는 많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활성탄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그럼 돈 들이지 않고 맛 좋은 청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있습니다. 술 자체의  당도를 높게 만들면 일반 가정에서 여과하는 방식으로 술을 맑게 만들어도 “싱겁다”라거나 “밍밍하다.”라는 느낌 없이 맛 좋은 청주를 마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당분이 남아있는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에서 두 가지 정도를 소개하려 합니다.

1. 삼양주의 술을 빚는다.

단양주 보다는 이양주가 이양주 보다는 삼양주의 술에서 좀 더 알코올 도수가 높고 당도가 깊은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화주처럼 단양주의 술로 달콤한 술을 얻을 수는 있겠으나 청주의 양이 적어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물론 탁주로 마신다면 상관없겠죠.

이렇게 삼양주로 만든 술은 밑술에 덧술,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술을 빚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겠으나 술의 양이 많아지고 높은 도수과 당분이 남아있는 좋은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밑술만 잘 되면 삼양주까지는 큰 문제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완전 발효가 진행되기 전에 술을 거른다.

완전 발효가 진행되면 술에 당분이 남아있지 않아 싱거운 맛을 잡을 수 없습니다. 또한 완전 발효시에는 술에서 느끼한 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완전 발효시까지 기다리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술이 위에 맑게 고이기 전에 술을 걸러야 합니다.

걸러 놓은 술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위에 맑은 술을 따로 떠내서 유리병에 보관하면 당분이 남아 있는 청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청주는 유리병 안에서 더욱 맛과 향을 가지기 때문에 명주로서 손색이 없습니다.

이상 두 가지 방법으로 술을 제조하여 청주를 만들면 소주만큼 독하고 단 향이 살아있어 목으로 잘 넘어가는 맛 좋은 명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박관수

2006.07.28 07:53:34
*.216.51.183

또 한줌의 지식을 갖게 되었네요 고맙읍니다.

酒人

2006.07.29 02:00:57
*.61.227.31

제가 가장 기분 좋을 때가 이렇게 써 놓은 글에 답글을 달아주는 것입니다. ^^ 비판을 해도 좋으니 박관수님과 같은 분이 많았으면 소원이 없겠습니다.^^

자주 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1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60
720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57
719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452
718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49
717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39
716 안녕하세요. 제 술 상태 문의 드립니다.(감사합니다) file [1] 안녕핫세요 2023-09-15 5432
71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32
714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428
713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425
712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422
711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22
710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414
709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412
708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05
707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399
706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396
705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395
704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392
703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390
702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389
701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386
700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385
699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384
698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384
697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378
696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374
695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51
694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350
693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41
692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336
691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334
690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332
689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328
688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308
687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307
686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305
685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298
684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296
683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294
682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29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