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조회 수 4912 추천 수 56 2006.01.13 20:22:34
집에서 술을 빚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질문은 "힘들게 왜 산에 올라가요?"라는 질문과 별반 다를 게 없습니다. 산을 오르는 것은 힘들지만 다 올랐을 때의 성취감이나 자신감 그리고 그 어떤 느낌이 있는 것 처럼 술을 빚는 다는 것도 이와 다를게 없는 것입니다.

그럼 좀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여러분이 시중에서 사 먹는 술은 "그냥 술"입니다. 여러분도 편하게 먹기 위해 그런 술을 사는 것이고, 여러분이 먹는 그 술 또한 "팔기위해 만든 술"이 되는 것이죠. 그럼,  술 만드는 업체가 팔기위한 술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까요??

집에서 빚는 것처럼 좋은 재료 정성 시간이 투자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팔기위해 만든 술 대부분은 술의 양을 늘리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집에서 만드는 것처럼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죠. (물론 술 만드는 업체도 좋은 술을 빚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빚는 것만큼 따라올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술을 만들다보니 술에 여러가지 인공감미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술의 색을 위해서 또는 술의 향을 위해서 또는 술의 맛을 내기 위해서...

그럼 이렇게 넣은 인공감미료는 어디로 갈까요?  물론 다 몸 속으로 들어가겠죠.
다음날 머리가 아프겠죠....^^ 몸이 이러한 물질을 소화하기 위해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겠어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그러나 집에서 빚어 마시는 술에는 이러한 인공 감미료를 넣으라고 해도 넣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술의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이죠. 물론 몸에 큰 부담이 되지도 않습니다. 좋은 술을 마시면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도 몸이 개운하죠? 몸에서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술이라도 사람이 먹고 나서 부담을 준다면 그 술은 진정한 "팔기위한 술"입니다. ^^ 그 술을 마시는 사람은 돈 잃고 몸은 몸대로 스트레스 받고..ㅎㅎ

이런 글을 쓰는 저도 가끔 머리아픈 술을 먹습니다.^^ 그러나 좋은 술이 집에 있으면 이런 일은 별로 없죠. 왜냐하면 그 술이 생각나니까요. 한달간 정성스럽게 빚어 놓은 술. 생각만해도 정말 "아까워서 먹기 힘듭니다."

이런 재미를 여러분과 함께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273
680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255
679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243
678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233
677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227
676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224
675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224
674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221
673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214
672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210
671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글렌모렌지 2007-05-20 5210
670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208
669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206
668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203
667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197
666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195
665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191
664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김진영 2007-12-27 5189
663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187
662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182
661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177
660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176
659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74
658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167
657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johnfrankl0 2012-05-31 5167
656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165
655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64
654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163
653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63
652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창힐 2012-08-23 5152
651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151
650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147
649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138
648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132
647 얼그레이(홍차) 탁주를 빚어보고 싶습니다. [2] 준열바 2023-08-14 5129
646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116
645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116
644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108
643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106
642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10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