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조회 수 3726 추천 수 18 2010.03.25 14:58:47
2010.03.23 저녁 10시부터 술을 빚기 시작하여 새벽 1시에 담궜습니다
그러니까 화요일 저녁에 빚기 시작하여 새벽에 담군거지요

막걸리를 빚었는데 빚는 과정은

찹쌀 싸래기 3.6kg 누룩 450g(쌀의 약 15%) 이스트 6g
물은 술 담글때 쌀의 표면까지 채워주었습니다 사용한 물은 정수기 입니다

모든 도구는 소주로 소독하였으며 술독은 세제로 한번 닦고 소주로 한번
닦고 증기 소독 한번 더 한후에 술 담그기 직전까지 뒤접어놓았습니다

찹쌀싸래기는 깨끗이 씻어서 약 2시간 불려 직화로 고두밥을 지엇으나
약간 질게 되어 손에 달라붙는 정도의 밥이 지어졌습니다

이를 미지근할정도로 식혀 잘게 부쉰 누룩과 미지근한물에 불린 이스트와 함께
버무리고 통에 담근 후 물을 붓고 잘 섞어서 소독한 보자기를 4겹으로 접어
고무줄로 묶었습니다


이렇게 담군 술은 24도의 방에 그냥 뒀습니다 어떻게 보면 조금 찬듯하면서도
차가운게 아닌 적당한 온도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온도계로 24도 였습니다

그렇게 새벽 1시에 담그고 잠을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들리더군요 열어보진 않아서 모르겠지만 귀를 가까이 대어보니
보글보글 하는 소리가 조금씩 들리더라구요

그리고 저녁에 천을 걷어서 열어보니 물기를 쪽 빨아서 표면에 물기가
거의 없는 상태였습니다 여전히 보글보글 소리는 들리고 있구요
냄새를 맡아보니 신내는 안나는거 같은데 알콜향이 나는것 같더군요
아, 이때 막 보글보글한 상태는 예전보다 좀 더 격렬했고
뭔가 푸식 - 푸식 - 하면서 뭔가 뿜어내는 소리도 들린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알콜향을 맡아본게 어제 저녁이었는데 술독이 좀 따뜻해진듯
싶어서 찬기가 살짝 도는곳으로 자리를 옴겼습니다 아예 그냥 여기 그대로
놔두고 발효시킬 작정입니다

오늘이 이제 약 이틀째 되는데 좀 걱정 스럽네요~
아무튼 이제 담군지 1~2일만에 이렇게 될 수 있나 싶어 걱정되기도 하고
일단 신냄새는 안나니까 잘되가는것 같기도 해서 이렇게 묻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酒人

2010.03.28 20:42:05
*.106.6.219

싸래기 쌀에 그것도 찹쌀에 누룩과 효모를 따로 또 넣어줬으니 발효가 빨리 진행되는 것입니다.
아마도 물의 양이 얼마냐에 따라 맛이 달라자기겠지만
지금 현재로는 쓴맛이 강하게 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발효조를 열어 맛을 보고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 酒人
  • 2006-10-26
  • 조회 수 3819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가입인사 드립니다. [1]

  • jun
  • 2015-01-31
  • 조회 수 3847

2차 덧술할때... [1]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용수냄새가 나서 [1]

  • 고천
  • 2010-12-06
  • 조회 수 3852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급질문입니다.. [1]

  • 2009-01-07
  • 조회 수 3854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문의좀 드립니다 [1]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안녕하세요 술을 빚어보려 합니다. [4]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 酒人
  • 2007-03-15
  • 조회 수 3896

[re] 답변입니다. [2]

  • 酒人
  • 2009-03-14
  • 조회 수 3900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3901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 술향
  • 2010-02-10
  • 조회 수 3903

누룩 띄우기

  • Jtracey
  • 2020-07-24
  • 조회 수 3909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진상주를보면서......... [2]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27
  • 조회 수 3912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 酒人
  • 2006-08-21
  • 조회 수 3915

멋진 답변~~~

  • 떳다
  • 2008-10-16
  • 조회 수 3915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수곡 [1]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덧술발효에 대하여.. [2]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 오씨
  • 2018-11-30
  • 조회 수 3928

걱정했는데...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