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약주란 무엇인가.</b>

조회 수 3132 추천 수 60 2006.07.28 08:45:20
약주에 대하여

약주(藥酒)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는 “약이 되는 술”과 별반 틀리지 않는다. 몸이 허약한 사람이나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그것이 곧 약주가 되는 것으로 술을 빚을 때 약재를 넣었다 하여 꼭 그 술이 약주가 되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가을에 흉년이 들었거나 봄에 비가 오지 않으면 곡식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수시로 “금주령’을 내리곤 했는데, “금주령”을 어긴 사람들은 유배를 보내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형에 처하기도 했다. 또한, 몸이 허약해서 약으로 먹는 술은 금주령에서 제외시키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대부 집안에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몰래 술을 빚어 마셨으며 어쩌다 문제가 커지게 되더라도 “약(藥)” 으로서 술을 마셨다고 하면 그뿐이었다.

1486년 성종 17년 2월 29일에도 여지 없이 금주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그런데 화천군 권감 등이 모여 술을 마시다 발각되어 사헌주 지평 반우형이 와서 임금에게 와서 아뢰기를  

“화천군(花川君) 권감(權瑊) 등은 사리를 아는 대신으로서 모여 가지고 술을 마셨으니, 청컨대 국문하도록 하소서.” 라고 하니

성종이 말하기를

“이것은 모여서 술을 마신 것이 아니다. 내가 듣건대, 권감이 병이 났는데 이숭원과 김순명이 이웃 마을에 함께 살기에 그 병을 위문하러 갔더니, 마침 권감이 기운을 순조롭게 하는 약술[藥酒]을 마시고 있었으므로, 잠시 서로 마셨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니 추문(推問)하지 말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술을 마셔도 그 술이 약으로서 먹는 술이면 금주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들은 금주령을 피해갈 수 있었으나 일반 힘 없는 백성들은 금주령에 걸리면 큰 벌을 받는 일이 빈번하여 법의 형평성에 큰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일반 백성이 술을 마시다 걸렸는데 “약주로 마신 것이요” 라고 말하면 …. 더 맞을 것이다. ^^

이렇듯 약주란 높은 집안 사람들에게는 금주령을 피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어떨 때에는 정말 약으로서 먹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힘 없는 사람들에게는 술이 곧 식량이고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약” 이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들만의 약술이었을 뿐이다.

글을 마치면서 1547년 <명종 2년 12월 3일> 임금과 대신들의 대화 내용을 옮겨 적는다.

“지금 금주령(禁酒令)을 이미 내렸는데 사대부들이 잔치하면서 술을 마시고 음악을 울리는 것이 풍년인 때와 다름이 없습니다. 이는 국법을 두려워할 줄을 모르고 멋대로 하는 것이니, 기강이 무엇을 말미암아서겠습니까. 낭청은 당상의 말을 행하지 않습니다. 사인(舍人)과 검상(檢詳)은 정승(政丞)의 낭청인데도 심지어 정승의 말을 거행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로 보아도 기강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기강을 닦는다면 어찌 이처럼 완만하겠습니까.” 라고 하자

임금이 답변하기를
“금주령을 단속하는 서리가 세력 없는 자는 잡아 처벌하고 이름 있는 조사(朝士)들이 있는 곳은 살펴볼 수가 없을 것이다. 이는 모두 시종과 대간들이 임금의 명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장리(贓吏)에 대한 조정의 법이 엄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지탱하지 못하고 점차 떠돌게 되니 어떻게 나라를 이끌어 가겠는가.” 라고 말하였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3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58
882 백세후 완전건조된 쌀 [1] KoreanBrewers 2019-04-03 3463
881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67
880 술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7-10 3475
879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476
878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477
877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481
876 날씨가 갑자기 더워져서 걱정입니다. [1] 랄랄 2012-05-02 3482
875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486
874 삼양주 담는중입니다. [1] 소라 2014-07-25 3488
873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ㅜㅠㅜㅠ file [2] 루덴스 2019-05-12 3489
872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90
871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494
870 안녕하세요 이양주와 삼양주를 담아보려고 하는데요 [1] 플라타너스 2020-09-04 3494
869 술로 술 빚기? [1] 케이원 2014-05-27 3496
868 첫 술을 빚어 보려는데.. [3] 고망고망 2009-08-05 3503
867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3509
866 봉출주는 어떻게 빚으셨는지.. [2] 허허술 2010-01-01 3510
865 주인님 추가질문입니다ㅜ,ㅜ [1] 강하주 2014-03-22 3513
864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3513
863 석탄주 빚을때... [2] 보리콩 2010-08-25 3514
862 한 여름에 진상주를 - - - [2] 광이 2010-07-28 3515
861 석탄주 덧술발효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부분 [1] 레오몬 2020-02-12 3517
860 <b>[답변]2009년 교육 일정</b> 酒人 2008-10-01 3519
859 발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이해력이 부족해서... [3] 김군 2009-12-19 3519
858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520
857 술을 처음 빚어봅니다~!! 질문 있습니다. [2] 준우 2019-04-26 3521
856 호산춘의 덧술방법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2-04 3523
855 술의 보관.. 2008-11-19 3530
854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531
853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537
852 질문있습니다! [2] 보해미안 2009-11-13 3537
851 지황주 아시는분? 금은화 2008-07-25 3544
850 이야기 마당 - 사진게시판 [2] 민속주 2012-06-20 3547
849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549
848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51
847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7-06-03 3552
846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557
845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560
844 송순주 [1] yk 2014-08-02 35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