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조회 수 4851 추천 수 42 2006.10.15 23:36:49
도정(搗精) 정도의 차이

술을 만드는 원료에는 쌀, 고구마, 옥수수, 보리, 밀 등 전분이 주성분인 것과 포도나 사탕수수 등의 당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과실이나 식물의 줄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그 나라에 생산되는 가장 질 좋고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는 원료들을 술 빚기에 이용하는데, 우리나라는 쌀을 이용한다.



현재 우리가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쌀은 ‘백미’로 쌀의 표면을 약 10% 정도 깍아 놓은 것이다. 또한, 벼의 외피를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한다. 현미의 전분가는 보통 69% 정도이며 백미의 전분가는 약 73%정도가 된다. 즉, 현미와 백미의 전분가가 다른 것은 쌀의 표면을 얼마나 깍았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백미가 현미보다 전분의 양이 많은 것은 현미의 표면을 깍아내어 상대적으로 백미의 전분가가 높아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양조미(술 빚을 때 사용하는 쌀)의 도정 비율이 30% 정도가 되고 50% 도정을 하는 곳도 있다. 술을 빚을 때 도정을 많이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고 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자.

쉽게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의 쌀을 준비한다. A는 10% 도정한 쌀로 전분 함유량이 70%, B는 30% 도정한 쌀로 전분 함유량이 90%라고 하자.

각각 1말(8kg)의 쌀을 이용했을 때, A의 전분가 보다 B의 전분가가 20%가량 많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20%의 차이는 술을 빚을 때 어떤 역할을 할까.

1.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원료가 전분의 양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당(當) 성분을 많이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당을 많이 만들어 낸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양의 알코올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생산되는 알코올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대문에 알코올을 만들고 남은 잔당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잔당이 많이 남는 다는 것은 술이 단맛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으로 술을 적게(단양주, 이양주, 삼양주) 빚어도 맛 좋은 술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5. 술을 적게 빚으면서 맛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다는 것은 원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과 도정을 많이 해야 한다는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6. 일반 가정에서 술을 빚을 때, 술을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있지만 동일한 쌀을 사용하는 것이 술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비결이다.

7. 쌀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생성되는 당과 알코올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8. 따라서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쌀은 도정을 많이 한 것이 좋지만, 현재 그러한 쌀을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좋은 품질의 쌀을 사용해야 한다.

9. 좋은 품질의 쌀이란, 쌀알이 굵고, 물을 잘 흡수할 수 있으며 잘 쪄지는 쌀을 들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쌀알이 굵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10. 50% 도정을 했다는 것은 거의 쌀의 전분만으로 술을 빚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전분만 가지고는 술을 빚을 수 없다. 사람이 사랑만 가지고 살 수 없듯이^^ 미생물도 전분 이외에 미량의 영양물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보듯 원료의 전분가가 높다는 것은 다량의 당 생성과 당 생성에 따른 알코올과 잔당을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선택한 쌀이 다른 쌀 보다 전분가가 1%만 높아도 술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앞으로는 술을 빚기 전에 쌀의 상태를 잘 확인해 봐야 할 것이다. 음식을 만들기 전에 시장에서 좋은 야채를 고르듯이 술을 빚기 전에는 항상 쌀의 상태를 점검하고 구입해야 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전통가양주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 두메
  • 2009-02-04
  • 조회 수 5294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 aladinn
  • 2015-03-06
  • 조회 수 5292

알콜농도측정도구

  • 빅툴
  • 2013-03-04
  • 조회 수 5289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 적초
  • 2009-05-29
  • 조회 수 5287

이화곡 활용 방법 [1]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 酒人
  • 2006-09-19
  • 조회 수 5271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 창힐
  • 2012-08-23
  • 조회 수 5251

증류주로 뿌리주를...??? [1]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 酒人
  • 2006-10-23
  • 조회 수 5235

엿술의 단맛은? [2]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5220

덧술하기에 관하여.... [4]

  • 공주
  • 2008-02-13
  • 조회 수 5220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 酒人
  • 2007-03-05
  • 조회 수 5213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 酒人
  • 2006-07-19
  • 조회 수 5199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 비니
  • 2010-12-06
  • 조회 수 5196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189

외국인들에게 막걸리와 사케 차이 설명 [3]

류가향 밑술 온도에 질문이 있습니다! [2]

[re] 술 담그는 방법 [1]

  • 酒人
  • 2008-10-27
  • 조회 수 5168

누룩만들기 [1]

술독 뚜껑 안쪽 면에 맺힌 이슬은요? file [2]

  • anakii
  • 2013-10-24
  • 조회 수 5164

석탄주 [2]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 酒人
  • 2005-09-06
  • 조회 수 5138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134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 석탄
  • 2009-03-07
  • 조회 수 5129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 酒人
  • 2006-03-18
  • 조회 수 5129

산막일까요? file [3] [1]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 酒人
  • 2006-06-01
  • 조회 수 5119

독한 청주 [1]

  • yk
  • 2014-02-05
  • 조회 수 5111

단양주를 빚엇는데 요구르트 처럼 걸죽하게 나왔어요 ;; [2]

XE Login